2025.4.7 알고리즘 코드카타

재석 블로그·2025년 4월 7일
0

알고리즘 코드카타 - 114. 배달

문제 링크

풀이 참고 : 큐

문제 설명

N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습니다. 이 나라의 각 마을에는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각각 하나씩 부여되어 있습니다. 각 마을은 양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는 도로로 연결되어 있는데, 서로 다른 마을 간에 이동할 때는 이 도로를 지나야 합니다. 도로를 지날 때 걸리는 시간은 도로별로 다릅니다. 현재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에서 각 마을로 음식 배달을 하려고 합니다. 각 마을로부터 음식 주문을 받으려고 하는데, N개의 마을 중에서 K 시간 이하로 배달이 가능한 마을에서만 주문을 받으려고 합니다. 다음은 N = 5, K = 3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위 그림에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은 [1, 2, 4, 5] 번 마을까지는 3 이하의 시간에 배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3번 마을까지는 3시간 이내로 배달할 수 있는 경로가 없으므로 3번 마을에서는 주문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배달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은 4개가 됩니다.
마을의 개수 N, 각 마을을 연결하는 도로의 정보 road,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음식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마을의 개수 N은 1 이상 5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road의 길이(도로 정보의 개수)는 1 이상 2,000 이하입니다.
  • road의 각 원소는 마을을 연결하고 있는 각 도로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 road는 길이가 3인 배열이며, 순서대로 (a, b, c)를 나타냅니다.
  • a, b(1 ≤ a, b ≤ N, a != b)는 도로가 연결하는 두 마을의 번호이며, c(1 ≤ c ≤ 10,000, c는 자연수)는 도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 두 마을 a, b를 연결하는 도로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한 도로의 정보가 여러 번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
  • K는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며, 1 이상 500,000 이하입니다.
  • 임의의 두 마을간에 항상 이동 가능한 경로가 존재합니다.
  •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K 이하의 시간에 배달이 가능한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면 됩니다.

입출력 예

NroadKresult
5[[1,2,1],[2,3,3],[5,2,2],[1,4,2],[5,3,1],[5,4,2]]34
6[[1,2,1],[1,3,2],[2,3,2],[3,4,3],[3,5,2],[3,5,3],[5,6,1]]4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주어진 마을과 도로의 모양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 1번 마을에서 배달에 4시간 이하가 걸리는 마을은 [1, 2, 3, 5] 4개이므로 4를 return 합니다.

풀이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void addEdge(vector<vector<pair<int, int>>>& graph, int start, int arrive, int time)
{
    graph[start].push_back({arrive, time});
    graph[arrive].push_back({start, time});
}

int solution(int N, vector<vector<int> > road, int K) {
    int answer = 1;
    // 가중치가 있는 간선 리스트
    // 중복 순회 방지 방문, 누적시간배열
    vector<int> visited(N+1, 0);
    // 그래프 모델링
    vector<vector<pair<int, int>>> graph(N+1);
    for(auto& info : road)
    {
        int start = info[0], arrive = info[1], time = info[2];
        addEdge(graph, start, arrive, time);
    }
    // 큐에 1번 마을 추가
    queue<pair<int, int>> q;
    q.push({1, 0});
    // 마을 순회(큐)
    while(!q.empty())
    {
        pair<int, int> current = q.front();
        q.pop();
        if((visited[current.first] != 0 && visited[current.first] < current.second) || current.second > K)
        {
            continue;
        }
        visited[current.first] = current.second;
        for(auto& next : graph[current.first])
        {
            if(next.first != 1)
            {
                q.push({next.first, current.second + next.second});
            }
        }
    }
    for(auto& v : visited)
    {
        if(v) answer++;
    }
    return answer;
}
  • BFS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코드
  • 큐의 맨 앞을 빼서 큐와 연결된 노드가 조건을 만족하면 큐에 추가한다는 점에서 BFS와 비슷하다.
  • 중요한 차이점은 큐에 추가하는 pair<int, int>second가 1번 노드에서 시작해 현재 노드까지 소요 시간을 더한 값으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DFS와 BFS는 어렵다..

profile
게임 개발자 재석의 블로그입니다.

3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4월 7일

안녕하세요 포스팅 잘 보고갑니다 다름이 아니라 내일배움캠프 언리얼 부트캠프를 고민하고 있는데 난이도나 중간 후기를 알 수 있을까요..?!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