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에 중간 중간에 첨부된 다이어그램은 스터디에서 사용하는 다이어그램을 캡처하였습니다.쿠버네티스에서 기본적인 메트릭 집합을 지원한다. 메트릭 파드를 설치하면 사용자는 간단하게 명령어로 현재 노드와 파드의 CPU,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메트릭 서버는 사용자의
글에 중간 중간에 첨부된 다이어그램은 스터디에서 사용하는 다이어그램을 캡처하였습니다. > CloudNet팀의 가시다님 스터디로 진행됩니다. GitOps와 ArgoCD(문어) ArgoCD는 Kubernetes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운영 자동화 도구이다. Gi
글에 있는 이미지는 공식 문서와 스터디에서 사용한 첨부 자료입니다.CloudNet 팀에서 활동하시는 가시다님의 스터디 내용입니다.무릇 개발자라면 다양한 시스템을 접할 것이다. MQ를 쓰더라도 SQS, Redis, key-value DB, RabbitMQ .. Cron을
레파지토리 https://github.com/wnsdudSoftkim/virtual_investment 크립토 관련 회사를 다니면서, 실시간 데이터들이 빠른 속도로 차트에 기입되는 형상이나, 클린코드로 짜여져 있는 백엔드 코드를 보면서 조금 더 웹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이전까지 프로젝트에서 프론트와 백엔드를 나누어서 진행했다면, 이제는 개인프로젝트에서 백엔드가 어떤 거창한걸 하는지 잘 모르겠다.예를 들어 내가 대규모 사용자 처리를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간단한 REST API 처리만 하는데 백엔드가 굳이 필요할까?그런 의미에서 Rea
데이터 베이스란 내가 활용할 데이터들을 모아놓은 곳입니다. 즉 관리 해야 하는 데이터들을 목적에 맞게 일부로 저장소에 넣어준다는 것입니다.그럼 그냥 넣으면 되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는 뭐고 NoSQL은 뭐야?행과 열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 입니다. 마치 표 처럼
현재 프로젝트의 기술 스택은 https://github.com/wnsdudSoftkim/Tech_Blog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Redux란 무엇일까요? 상태관리는 뭐고 local state , global state는 무엇이길래 React와 Redux를
이 블로그는 https://objective-blackwell-219591.netlify.app 입니다현재 프로젝트의 기술 스택은 https://github.com/wnsdudSoftkim/Tech_Blog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저번까지 통신 작
블로그 주소는 https://objective-blackwell-219591.netlify.app 입니다현재 프로젝트의 기술 스택은 https://github.com/wnsdudSoftkim/Tech_Blog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Header ,
현재 프로젝트의 기술 스택은 https://github.com/wnsdudSoftkim/Tech_Blog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프론트 작업 중 생각보다 오래걸렸던 작업 중 하나는 레이아웃 구성입니다. 디자인 짜는 감각이 부족하고, 전공이 아니라면 오래 걸
블로그 주소는 https://objective-blackwell-219591.netlify.app/현재 프로젝트의 기술 스택은 https://github.com/wnsdudSoftkim/Tech_Blog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개인적으로 React
image Var 변수는 값이 변할 수 잇는 변수인데 lateinit var mContext: String 이처럼 나중에 초기화 하겠다는 lateinit 을 앞에 붙여서 최상단에 변수선언을 할 수 있고 혹은 나중에 배울 null 초기화를 이용하여 초기화를 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