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가 생성한 랜덤 숫자를 사용자가 맞추는 게임을 만들어보자.1) 1~100의 숫자 중 하나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2) 사용자가 예상하는 숫자를 입력하면3)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가 컴퓨터가 생성한 숫자보다 큰지, 작은지, 같은지를 알려준다. 4) 사용자가 랜덤하게 생성
지난 포스팅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를 만들어봤다! 그런데, 반복문을 사용하기 전에라서 print 함수를 무려 13개를 만드는 노동을 했다. for 문과 while문을 배운 이상, 크리스마스 트리를 더 이상 단순하게 만들 수 없어서 번에는 for문을 이용해서 간결한 코드를
원하는 크리스마스 트리의 모양은 아래와 같으며 사용자로부터 두 파라미터를 입력받아서 작성한다.tree와 floor에 곱하는 숫자와 center의 숫자를 수정해서 자신의 원하는 트리로 재탄생시킬 수 있다. 원한다면, 정말 큰 대왕 트리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여러 줄
모듈은 파일의 모음이다. 생성한 함수를 파일로 저장한 뒤에 import 뒤에 모듈을 입력하여 사용해서 불러들여서 사용할 수 있다.예시) 가장 대표적인 모듈이 math이다.math 모듈 안에는 여러 함수가 존재한다.아래 링크에는 math안에 존재하는 여러 함수와 기능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받은 데이터를 전달할 때 무수히 많은 컴퓨터들 중 과연 어떤 컴퓨터에, 그리고 컴퓨터 화면 내의 무수히 많은 네이버, 카톡, 구글 중 과연 어떤 곳에 데이터를 전달해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정답은 ip와 포트에 있습니다. ip는 쉽게 00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명령을 다른 시스템에 보내는 것사용자에게 CLI를 제공하며 두 가지 업무 (1. 사용자로부터 커멘트 형태의 인풋을 받는다. 2. 스크린에 출력물을 표시한다.)최종 사용자가 제공한 명령을 해석합니다.명령 구문을 확인한 다음 명령이 올바르게 사
안녕하세요. 도커와 가상머신 비교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가상머신이 없고 하나의 OS만 있다면 하나의 컴퓨터로 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기회가 사라지는 것이다. 가상 머신이 없던 시절에는 내 노트북이 윈도우면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컴퓨터가 필요했을
안녕하세요. 이번엔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에 대해서 작성해보겠습니다.프로그램은 사실 남녀노소 많이들 익숙한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프로세스의 경우는 영어 process의 뜻 자체가 실행하다는 것이니 뭔가를 실행하는 것이군!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들이 정확히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뉩니다. 그 중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제가 배운 것을 작성해보겠습니다.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나뉩니다. 그리고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OS(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컴파일러로 나뉩니다.계층 구조로 시각화해본다
안녕하세요. 제가 첫 포스팅에서 혼돈의 도가니탕에 빠진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되어주신 분을 언급했었는데요. (https://velog.io/@co_joyau/코알못의-첫-포스팅-6z2juc6d) 오늘 포스팅에서는 그 분과 첫 만남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해볼까
안녕하세요. 코알못 JOYAU입니다. 2022년 9월 18일, 첫 벨로그 포스팅을 업로드하게 되었습니다.저는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뼛속까지 문과 인간으로, 그동안 코딩과 거리두기를 정말 철저히 잘 지키고 있었습니다(이 정도면 보건복지부 상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