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타입 변환

co_mong·2021년 7월 23일
1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Javascript 타입 변환

타입 변환이란 값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바스크립트에는 개발자가 직접 타입을 변화시켜주는 명시적 타입 변환(타입 캐스팅)과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타입을 변경해주는 암묵적 타입 변환(타입 강제 변환) 두 가지 타입 변환이 있습니다.

1. 명시적 타입 변환

변수나 함수등을 개발자가 직접 형변환을 시켜주는 명시적 타입 변환입니다.
기본적으로 Number,String,Boolean등이 있고 그외에도 parseInt,parseFloat와 같은 형변환 함수들이 존재합니다.

1.1 숫자 타입으로 변환

  • Number()
Number("12")       //12
Number(true)       //1
Number(false)      //0
Number("12Num")    //NaN
Number(null)       //0
Number(undefined)  //NaN
  • parseInt()
parseInt("12",10)  //12
parseInt("12",8)   //10
parseInt("11",2)   //3

parseInt 의 경우 문자열과 N진수가 파라미터로 들어오게되고 해당 문자열을 N진수 형태로 인식해 10진수로 변환시켜줍니다.
N진수의 기본값은 10진수 입니다.

  • parseFloat()
parseInt("12.34")  //12.34

1.2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 String()
String(12)         //"12"
String(true)       //"true"
String(false)      //"false"
String(12.3)       //"12.3"
String(null)       //"null"
String(undefined)  //"undefined"

1.3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

  • Boolean()
Boolean("12")      //true
Boolean(0)         //true
Boolean([])        //true
Boolean(NaN)       //false
Boolean(null)      //false
Boolean(undefined) //false

2. 암묵적 타입 변환

암묵적 타입 변환이란 개발자가 직접 데이터 타입을 변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자율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2.1 숫자 타입으로 변환

기본적으로 +를 제외한 산술연산자(-,*,/,%)등을 사용하면 산술연산이 이루어집니다.

"10"*3 //30
"10"-3 //7
"10"/3 //3.3333
"10"%3 //1

2.2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하지만 +의 경우 문자열과 숫자가 만나게 되면 숫자를 문자열로 형변환하게 됩니다.
그 결과 +는 문자열을 이어 붙이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10"+3   //"103"
3+"10"   //"301"
3+"10"+3 //"3103"

2.3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들은 truefalse값으로 변경될수 있습니다.
true로 형변환 되는 것을 truthy라고 하고 false로 형변환 되는 것을 falsy라고 합니다.

우선 falsy로 취급되는 값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false, 0, -0, null, undefined, "", NaN]

이 값들을 제외한 모든 값들은 truthy로 취급됩니다.
이러한 특징을 사용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할수 있습니다.

const a = 0;
if(a){
  console.log(a);
}else{
  console.log("falsy");
}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0은 falsy이므로 "falsy"가 출력됩니다.

3.단축 평가

단축 평가란 논리연산을 수행할때 해당 연산의 결과를 미리 반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1 And 연산자

"A" && "B" //"B"

위의 경우 and 연산이 참인지 판별하려면 "B"까지 확인해야하므로 결과가 "B"가 나오게 됩니다.

0 && "B" //"B"

하지만 이 경우에는 0에서 이미 false값으로 판별이 났으므로 0을 반환합니다.

if(0 && "b"){
    console.log(1);
}else{
    console.log(0);
}
//0

3.2 Or 연산자

"A" || "B" //"A"

위의 경우 or 연산이 "A"에서 이미 참임을 확인했으므로 "A"를 반환합니다.

0 || "B" //"B"

하지만 이 경우에는 0까지만 봐서는 확인이 안되고 "B"까지 봐야 하므로 "B"가 결과값이 됩니다.

if("A" || "B"){
    console.log(1);
}else{
    console.log(0);
}
//1

참고자료

https://poiemaweb.com/js-type-coercion
https://velog.io/@design0728/%EC%95%94%EB%AC%B5%EC%A0%81-%ED%83%80%EC%9E%85-%EB%B3%80%ED%99%98implicit-coercion-0gqe2tex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