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및 동작원리

Coco Park·2024년 1월 10일
0

Spring_Boot

목록 보기
2/13

동작 원리

먼저 토이 프로젝트를 구현하기 위해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설정하면 되는데, IntelliJ Ultimate 버전이 아니라면 Spring Initializer를 활용하면 된다.

Spring Initializer

해당 프로젝트를 위해 기본적으로 설정하는 Dependency는 다음과 같다.

1. Lombok (Getter, Setter, ToString과 같은 어노테이션)

2. Spring Web (REST 방식의 Web API를 구성하는 어노테이션)

3. Mustache (뷰페이지 구성용)

4. Spring Security (웹페이지 로그인 및 회원가입 관리)

5. Spring Data JPA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관리해주는 의존성 - 테이블 생성 및 데이터 CRUD를 구현)

6. MySQL Driver (데이터베이스로 MySQL를 사용하기 위함)

이후 GENERATE로 프로젝트를 만든 후 IntelliJ에서 프로젝트를 열고, Gradle의 의존성들을 모두 업데이트하면 된다.

Spring에서 공식으로 제공하는 뷰 템플릿인 Mustache를 사용하며 IntelliJ에서 플러그인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기본 개념

1. Servlet

웹을 구성함에 있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소통을 함에 있어서 HTTP기반의 통신을 위한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을 의미한다.

2. Servlet Container

이러한 서블릿에 대한 요청을 어떤 메소드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지 URL을 분석하고 요청에 대한 답을 반환해주는 것이다.

3. Spring Security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Servlet Container로 들어오면 Spring Security가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한 권한을 판정하기 위해 요청을 가로채서 로그인과 같은 회원관리 로직을 처리해주는 설정을 의미한다.

이를 모식도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이후로는 본격적인 Spring Security 설정을 진행할 것이다.

profile
ヽ(≧□≦)ノ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