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ANALYSIS PYTHON CLASS#4

codataffee·2024년 4월 26일
0

PYTHON CLASS

목록 보기
4/16
post-thumbnail

#데이터 분석 파이썬 종합반 4강


#파이썬의 몸통 : 함수


#숲 그리기

  • 파이썬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
    • 함수를 활용하여 긴 길이의 코드를 하나로 묶어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함수 기본

  1. 함수란?

    • 입력을 받아 원하는 처리를 한 후 출력을 내보내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
      프로그램 내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코드를 논리적으로 그룹화하여 재사용 가능한 형태로 정의

    • 함수의 필요성

      • 코드 재사용: 반복되는 코드를 함수로 정의해 여러 곳에서 재사용 가능
      • 모듈화: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작은 모듈로 나누어 개발 및 관리 가능
      • 유지 보수 용이: 함수는 각각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정의,
        수정이나 확장이 필요할 때 해당 함수만 수정 가능
      • 가독성 향상: 함수는 코드의 의도를 명확하게 표현 가능,
        복잡한 작업을 함수로 분해해 이해하기 쉽게 만듦
    • 함수의 정의와 호출 방법

      • 함수정의


        +) def 키워드를 사용해 함수 정의
        +) 함수 이름 뒤 소괄호 () 안에 매개변수(입력 값)을 정의
        +) 함수 내부에서 필요한 작업 수행 후, return을 사용해 결과값 반환

      • 함수 호출


        +) 함수를 호출할 때는 함수 이름을 적고,
        소괄호 안에 인수(함수에 전달할 값)를 넣어 호출
        +) 필요에 따라 결과를 변수에 저장 가능

      • 간단한 예시 코드
  2. 간단한 계산의 함수 만들기

    • 평균 계산 함수
  3. 다양한 함수 예시

    • 숫자 리스트에서 최대값을 찾는 함수
    • 튜플의 모든 요소를 곱하는 함수
    • 주어진 문자열에서 각 문자의 출현 빈도를 딕셔너리로 반환하는 함수

#함수 심화

  1. 전역변수? 지역변수?

    • 전역변수 (Global Variables)
      전역변수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접근 가능한 변수, 어디서든지 사용 가능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생성,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메모리에 유지

      • 프로그램 전체에서 접근 가능하여,
        여러 함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값을 저장할 때 유용
      • 하지만, 너무 많은 전역변수를 사용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디버깅이 어려워질 수 있음
    • 지역변수 (Local Variables)
      지역변수는 특정한 범위(ex:함수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한 변수, 범위 밖 사용 불가
      해당 범위에서 생성, 범위를 벗어나면 메모리에서 사라짐

      • 함수 내에서 정의된 변수는 해당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다른 함수나 코드 블록에서는 사용 불가
      • 함수가 실행될 때 생성, 함수가 종료되면 메모리에서 제거되어
        메모리 관리에 효율적
    • 예시)

  2. 인수? 매개변수?

    • 인수 (Argument)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되는 값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되는 실제 값이며,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다를 수 있다.
      함수 호출 시 매개변수에 전달되는 값으로, 해당 값은 함수 내부에서 매개변수로 사용됨

      • 전달인자라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함
    • 매개변수 (Parameter)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가 받아들이는 값을 지정하는 변수
      함수의 헤더 부분에서 매개변수가 정의, 함수 내부에서 사용
      함수를 정의할 때 매개변수를 정의하고, 함수가 호출될 때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값을 전달받음

    • 정리: 함수를 정의할 때 매개변수,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되는 값 인수

    • 예시)

      greet 함수의 매개변수: name
      함수 호출 시 "Alice" 라는 값이 name 매개변수! 로 전달
      여기서 "Alice" 가 인수!

  3. 위치 인수? 키워드 인수?
    함수 호출 시 전달되는 인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음
    위치 인수키워드 인수

    • 위치 인수 (Positional Arguments)
      함수 정의에서 매개변수의 위치에 따라 전달되는 인수
      위치 전달인수는 인자의 값이 함수의 매개변수에 순서대로 매핑됨
      함수 호출 시 위치 전달인수는 매개변수의 위치에 따라 전달

    • 키워드 인수 (Keyword Arguments)
      함수를 호출할 때, 인수를 순서대로 전달하는 대신 특정 매개변수에 값을 할당해 전달 가능

  4. 기본값(Default Values) 설정

    • 함수의 매개변수에 기본값 설정 가능
      해당 매개변수에 인수가 전달되지 않을 때 기본값으로 사용
  5. 키워드 인수와 기본값 함께 사용

  6. 가변 인수(Variable-length Arguments) 활용

    • 여러 개의 인수들을 받을 수 있는 함수를 만들기 위해 활용
    • 파이썬에서는 argskwargs 를 사용
      • args : 함수를 호출할 때 임의 개수의 위치 인수를 전달
      • kwargs : 함수를 호출할 때 임의 개수의 키워드 인수를 전달
      • args 예시
      • kwargs 예시
  7. 함수가 데이터 분석에서 사용되는 예시

    • 데이터 전처리 함수
      예로, 데이터 정규화, 결측치 처리, 특성 스케일링 등

    • 데이터 시각화 함수
      데이터의 분포, 상관 관계, 이상치 등


    • 통계 계산 함수



#QUIZ

  • 함수 퀴즈
    • 평균과 분산 계산기
    • 내 답안
    • 정답

profile
커피 좋아하는 데이터 꿈나무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