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킨스가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CI/CD 파이프라인 툴이라는 기본 컨셉이 있기는 하지만, 젠킨스가 워낙 다양한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말이 붙은 게 아닐까 합니다.기술 블로깅(?)은 처음이라(사실 블로깅 자체가 익숙치 않아서) 그날 그날 학습한
일전에는 ubuntu 22.04에 도커를 설치하여 젠킨스도 도커 컨테이너로 작동시켰는데 호스트 환경에 직접 설치하면 학습 시 더 직관적일 듯하여 linux에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도커를 설치하고 도커 이미지를 사용해 Jenkins를 배포합니다. Jenkins를 배포할 때 일부 디렉토리를 공유하도록 설정했으며 도커 소켓도 공유하도록 구성합니다. 이 소켓을 사용해 Jenkins는 호스트에 설치된 도커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Jenkins에도 d
Dockerfile (Ver. 2024.01.26)
도커 안에서 도커를 사용하는 두 번째 방법은 DooD(Docker in docker) 입니다. https://devopscube.com/run-docker-in-docker/ docker run --privileged -d --name dind-test docker
설치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컨텍스트로 전환합니다.핼름을 설치합니다.헬름을 사용해서 젠킨스 차트를 추가합니다.핼름을 사용하여 젠킨스를 설치합니다.설치를 확인합니다.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습니다.)로컬로 포워딩하여 브라우저로 대시보드가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도메인을 관
앞선 포스팅에서는 쿠버네티스 클라우드 에이전트를 사용하여 도커를 활용하였습니다.현재 관리용 클러스터의 자원이 충분하지 못 해서 복수의 빌드를 병렬로 실행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또한 관리 클러스터는 argocd 등 다른 개발용 컨테이너도 함께 구동하기 때문에 여유가 필요
앞 시간에 쿠버네티스 젠킨스 에이전트에서 별도의 인증없이 Docker sock에 바로 접근을 해보았습니다.사실 실무에서는 말도 안 되는 일입니다만, 이게 다 다음단계를 위한 초석이었습니다.이번 시간에는 도커 데몬에 보안인증서(TLS)를 적용해 봅시다.Docker 데몬
 상황이라 이제부터는 유지보수 위주로 운영하려고 합니다. 백업 & 복구 젠킨스 설정 Jenkins Configuration as Code(JCasC) 플러그인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