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으로 웹디자인을 하다보면 넓이와 높이, 사이즈 단위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반응형을 고려하지 않고 디자인을 할 때는 px를 썼지만, 좀 더 유연한 페이지를 디자인 하고자 한다면 em, rem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단위들은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단위를 사용하는 게 좋은지 이번에 확실히 알아두고자 한다.
px는 값이 고정되어있는 절대값의 단위이고, em과 rem은 환경에 따라 변하는 상대단위이다.
상대 단위란 고정되지 않고 어떤 기준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뀌는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대표적으로는 em, rem, %, vw, vh 등이 있다.
절대 단위란 어떤 상황에서든 항상 고정된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절대 단위도 상대 단위처럼 여려 단위가 있지만, 웹에서 절대 단위는 px을 제외하고는 잘 쓰이지 않는다. 보편적으로 책이나 신문과 같은 인쇄 콘텐츠는 항상 그 크기가 고정적이므로 절대 단위를 사용해야 하지만, 웹은 디바이스나 사용자 환경에 따라 콘텐츠 크기가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절대 단위를 사용하면 콘텐츠의 유연성이 저하된다.
픽셀은 절대값을 사용하는 단위이다. 1cm가 항상 1cm인 것처럼, 1px는 항상 1px이다. 즉 1px은 고정된 물리적 크기에 해당한다.
모든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font-size 설정이 가능하다. 따로 font-size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6px로 표시 되는데 개발자가 만약 font-size를 px로 고정하면, 사용자가 브라우저 설정에서 font-size를 변경하려고 해도 개발자가 정해둔 font-size에서 변경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ss에서 font-size를 24px로 설정해두고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font-size를 40px로 바꾸려고 해도 화면에 표시되는 크기는 24px에서 변하지 않는다.
한마디로 px은 사용자의 설정값을 덮어쓴다는 뜻이다.
em은 해당 단위가 사용되고 있는 요소의 font-size를 기준으로 px로 바뀌어 화면에 표시된다. 같은 엘리먼트에 설정된 폰트 크기 값이 없을 경우에는 상위 요소의 폰트 사이즈가 기준이 된다.
html {
font-size: 16px;
}
div {
font-size: 20px;
width: 10em; /* 200px */
}
<style>
.container {
font-size: 14px;
}
.container.title {
font-size: 2em; // 28px
}
.container.subtitle {
font-size: 1.5em; // 21px
}
.container.subtitle.leading {
font-size: 0.5em;
}
</style>
<body>
<div class="container">
<div class="title"></div>
<div class="subtitle"></div>
</div>
</body>
leading의 글꼴의 크기는 container안에 subtitle안에 있기 때문에, 14x1.5x0.5 = 10.5px이 된다.
<style>
.container {
font-size: 14px;
}
.container.title {
font-size: 2em; // 28px
}
.container.subtitle {
font-size: 1.5em; // 21px
}
.container.subtitle.leading {
font-size: 0.5em; // 10.5px
width: 0.3em;
height: 0.4em;
}
</style>
<body>
<div class="container">
<div class="title"></div>
<div class="subtitle"></div>
</div>
</body>
width는 10.5x0.3 = 3.15px
height은 10.5x0.4 = 4.2px
rem에서 r은 root, 즉 최상위 엘리먼트에서 지정된 font-size의 값을 기준으로 변환된다. HTML에서 최상위 요소는 html태그이다. 따라서 rem의경우, html 요소의 font-size 속성값이 기준이 된다. 만약 별도의 font-size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각 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을 상속 받는다. (일반적으로 16px)
html {
font-size: 16px;
}
div {
font-size: 20px;
width: 10rem; /* 160px */
}
<style>
.container {
font-size: 14px;
}
.container.title {
font-size: 2rem; // 28px
}
.container.subtitle {
font-size: 1.5rem; // 21px
}
.container.subtitle.leading {
font-size: 0.5rem; // 7px
width: 0.3rem;
height: 0.4rem;
}
</style>
<body>
<div class="container">
<div class="title"></div>
<div class="subtitle"></div>
</div>
</body>
width는 14x0.3 = 4.2px
height은 14x0.4 = 5.6px
많은 CSS 가이드들이 em을 사용해야만 하는 타당한 이유가 없는 경우라면 가급적 rem을 우선적으로 쓰도록 권고하고 있다. 왜냐하면 em의 경우 위에서 보았듯이 실제 몇 px로 변환될지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em을 사용해서 스타일된 요소의 경우 재사용이 어렵고 유지보수가 힘들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rem과 em도 용도에 맞게 적절히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페이지에서든 고정된 사이즈를 사용해야 한다면 rem을, 부모 요소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해야 하는 곳에는 em을 사용하면 된다. 그래서 보통 font-size에는 rem을 사용하고 padding이나 margin같이 화면에 따라 유연하게 변하는 크기는 em을 사용한다.
출처
엄청 쉽게 설명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