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port
설정viewport
설정을 통해 해당 페이지의 크기 설정.<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width
속성980px
.width=device-width
initial-scale
속성initial-scale=1.0
<meta name="viewport" content="user-scalable=no, minimum-scale=1.0, maximum-scale=1.0"/>
user-scalable
: 사용자의 축소/확대 허용 여부. (초기값=yes)minimum-scale
: 뷰포트의 최소 배율값. (0~10)maximum-scale
: 뷰포트의 최대 배율값. (0~10)flexbox
와 %
등을 이용해서 어느정도 반응형을 실현 가능하지만, 부족한 부분이 존재.@media [not or only] [media type] and ([속성]){...}
[not or only]
not
: 뒤의 조건을 제외. (일반적인 의미)noly
: 뒤의 조건을 충족할 때.[media type]
all
: 모든 미디어 타입.print
: 인쇄 용도.screen
: 컴퓨터 스크린. (모바일 기기 포함)tv
: 음성과 영상 동시 출력 장치.projection
: 프로젝터.[속성]
: 아래 분기점(종단점)에서 설명.min-
또는 max-
를 붙여 최솟값과 최댓값을 판단.and
로 나열 가능.width
(가로), height
(세로) 등의 값 이용 가능./*
기본 pc창 style
*/
@media all and (max-width: 1024px) {
/* pc 작은창, 태블릿 style */
}
@media all and (max-width: 767px) {
/* 모바일 style */
}
/*
기본 모바일 style
*/
@media all and (min-width: 768px) {
/* pc 작은창, 태블릿 style */
}
@media all and (min-width: 1024px) {
/* pc style */
}
궁극적으로 모바일 퍼스트 반응형 웹디자인은 기본적으로 점진적 개선(Progressive Enhancement)이라는 웹의 전략과 디자인에 기반한 것이다. 점진적 개선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강력한 토대 위에 개선용 층위를 영리하게 추가하는 식의 방법으로, 모두에게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rad frost-
사용 예시를 보고 싶다면 반응형 웹 구현를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