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Access Switch, Distribution Switch, Backbone Switch

Cookie·2025년 9월 4일
0

Network

목록 보기
2/3
post-thumbnail

네트워크 구성도 이해를 위한 Access Switch, Distribution Switch, Backbone Switch에 대한 정리 글을 작성함





들어가기 앞서

Access Switch, Distribution Switch, Backbone Switch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층형 네트워크 설계에 대한 정리를 할 필요가 있음



계층형 네트워크 설계란

네트워크를 역할별 계층으로 구분하여 안정성, 확장성, 효율성을 확보하는 설계방식으로 일반적으로 Access, Distribution, Core 계층으로 나눠짐


3-Tier Hierarchical Design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 적합한 설계 방식

  • Access Layer
    : 단말기가 연결되는 계층

  • Distribution Layer
    : 정책 적용 VLAN 간 라우팅, 보안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

  • Core Layer
    : 고속 백본 역할, 대규모 트래픽을 빠르게 전송


2-Tier Hierarchical Design

중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설계 방식

  • Core와 Distribution 계층을 하나로 통합함 (Access Layer는 그대로 존재)

  • 설계 단순화와 비용 절감이 가능함

  • 대규모 환경에서는 확장성과 유연성이 제한됨



이 중에서 3개의 스위치를 설명할 수 있는 3 Tier-Hierarchical Design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 진행함




3-Tier Hierarchical Design

네트워크를 Access-Distribution-Core 3계층으로 나눠 역할을 분리하는 구조로 주로 대규모 기업, 캠퍼스 네트워크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됨


구성 방식

  • Access Layer
    • 사용자 단말, 서버, 무선AP 등이 직접 연결되는 계층
    • VLAN, 포트보안, PoE, Broadcast 제어 기능을 수행함
    • 장비 : Access Switch

  • Distribution Layer
    • Core Layer로 전송하기 전 여러 Access Switch의 트래픽을 집계함
    •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라우터 이중화 프로토콜을 사용
    • VLAN간의 라우팅, 정책(ACL,QoS), 로드 밸런싱과 중복성을 제공함
    • 장비 : L3 Distribution Switch, Router

  • Core Layer
    • 네트워크의 Backbone 역할 수행함
    • Distribution Layer로 부터 수신된 모든 트래픽을 집계
    • 빠른 전송과 높은 대역폭(고성능)을 제공하며, 장비 복구를 중심으로 동작함
    • 네트워크 확장이 필요한 경우, 장비를 추가하는 것이 아닌 속도가 빠른 장비로 교체
    • 정책 처리 최소화하고, 고성능 L3 스위칭을 담당함
    • 장비 : Backbone(Core) Switch



필수 장비

  • Access Switch (L2/L3 가능)
  • Distribution Switch (일반적으로 L3)
  • Backbone Switch (고성능 L3, 대규모 백본 전송용)

    경우에 따라 Router, Firewall, Load Balancer 등 추가



장점 및 한계

  • 장점
    1. 확장성 = 계층 분리로 손쉬운 증설 가능
    2. 유연성 = 서비스 추가나 장비 교체 시 전체 네트워크 영향 최소화
    3. 관리 용이성 = 정책·보안 적용을 Distribution 계층에 집중
    4. 성능 최적화 = Core는 단순 고속 전달만 수행
    5. 안정성·복원력 = 중복 경로와 계층적 구조로 장래 격리에 용이

  • 단점 및 한계
    1. 복잡성 증가 = 3계층으로 분리하면서 설계·운영 관리가 어려워짐
    2. 지연 가능성 = 트래픽이 Access→Distribution→Core를 거치면서 홉 수 증가
    3. 비용 부담 = 각 계층별 전용 장비 필요 → 장비·운영 비용 상승
    4. 중소규모 환경 비효율 = 소규모 조직에는 과도한 구조, 불필요한 계층 발생





Access Switch

Access Switch는 네트워크의 가장 말단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직접 연결하는 장치
PC, 노트북, IP 전화기, 프린터, 무선 AP, IoT 센서 등 다양한 장치가 이 스위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이 과정에서 VLAN, 포트 보안, 트래픽 제어와 같은 기본 관리 기능을 수행함

  • Access Layer에 속하고 Distribution Layer와 연결됨
  • 단말과 서버 간 안정적 연결을 보장함
  • 네트워크 접근을 통제하고 초기 트래픽을 분산시켜 성능과 보안을 함께 책임짐

단순한 연결 장비를 넘어, 사용자 경험을 좌우하고 네트워크 운영의 안정성을 뒷받침 하는 핵심 축



기능

  • L2 스위칭
    : MAC 주소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달하여 같은 VLAN 내 단말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함

  • VLAN 분리
    : 동일 네트워크 안에서 논리적 구획을 나누어 broadcast 범위를 제한하고 보안성을 높임

  • PoE: Power over Ethernet
    : 무선 AP, IP 전화기, IoT 기기 등 전원 공급이 필요한 장치에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제공함

  • 접속 보안
    : 802.1X, 포트 보안, DHCP Snooping과 같은 기술을 통해 단말 인증과 불법 장치 접속 차단을 지원함

  • QoS 기본 지원
    : 음성·영상과 같은 지연에 민감한 트래픽을 우선 처리할 수 있도록 품질 보장 기능 제공




역할

  • 사용자 접속 지점
    : 수 많은 단말이 접속하는 최전선으로, 네트워크 전체의 안정성과 보안의 출발점이 됨

  • Broadcast 제어
    : 단말이 늘어나도 네트워크 혼잡을 최소화하도록 트래픽을 제어하고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는 불필요한 패킷을 줄임

  • 접근 통제 게이트웨이
    :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전에 반드리 거쳐야 하는 관문으로서, 인증과 권한 검증의 1차 단계 수행

  • 문제 격리
    : 장애나 오작동이 발생했을 때, 영향 범위를 단말 연결 구간에 제한하여 상위 계층의 안정성을 보장함




존재 이유

효율적 수용
: 기업이나 캠퍼스 환경에서 수백~수천 단말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필수 장비

보안적 전제
: 네트워크의 첫 진입점을 통제하지 않으면, 상위 계층에서 악성 트래픽이나 비인가 장치가 직접 영향을 미치게되므로 Access Switch는 기본적인 보안 통제 기능을 내재해야 함

운영 효율성
: 사용자 단에서 발생하는 빈번한 연결·해제·이동 요청을 로컬에서 처리하여, 상위 Distribution/Core 계층에 불필요한 부하를 주지 않음

서비스 품질 유지
: 음섬 통화, 화상회의, 원격업무 같은 실시간 서비스가 끊김 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접속 단계에서 품질 관리 수행





Distribution Switch

Distribution Switch는 Access Layer와 Core Layer 사이의 중간 계층 스위치로, 여러 Access Switch로부터 들어오는 트래픽을 집계하고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함
네트워크 계층 구조에서 L3 스위칭과 정책 처리를 담당하여, VLAN 간 라우팅, 접근 제어, 트래픽 필터링 등 상위 계층 기능을 수행함

네트워크 전체의 정책 적용과 안정성을 책임지는 핵심 계층



기능

  • L3 스위칭/라우팅
    : VLAN간 트래픽을 라우팅하고, IP 기반 트래픽 전달 최적화함

  • 정책 기반 제어
    : ACL, QoS, 보안 정책 등을 적용하여 트래픽 흐름을 관리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함

  • 트래픽 집계
    : 여러 Access Switch에서 올라오는 데이터를 집계하여 Core Layer로 전달 함

  • 중복 경로 지원
    : STP, RSTP, MSTP 등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통해 루프를 방지하고 고가용성을 확보함

  • 로드 밸런싱
    : 다수의 링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트래픽 혼잡을 최소화함




역할

  • Access Layer 집계
    : 여러 Access Switch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모아 상위 Backbone Switch로 전달함

  • 정책 적용 허브
    : 네트워크 보안과 트래픽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중앙 지점으로서, VLAN 간라우팅과 ACL 적용을 수행함

  • 장애 격리
    : 문제 발생 시 영향을 최소화하고 Access Layer 단위로 트래픽을 분리함

  • 고가용성 확보
    : 이중화, 다중 경로, 링크 집계 등으로 네트워크 다운타임을 최소화함




존재 이유

효율적 트래픽 관리
: 수 많은 Access Switch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집계·전달하여 Core Layer의 부하를 최소화

정책 중심 제어
: 보안, QoS, VLAN 간 라우팅 등 상위 계층 정책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필수 계층

확장성과 안정성 보장
: 네트워크 규모 확장 시 Access Layer를 추가하더라도 중앙에서 트래픽과 정책을 일괄 관리 가능

운영 효율성
: 트래픽 흐름과 장애 처리, 네트워크 최적화 기능을 집중시켜 관리 복잡성을 줄임





Backbone(Core) Switch

Backbone Switch는 네트워크 계층 구조에서 최상위(Core) 계층에 위치하며, Distribution Layer에서 집계된 트래픽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장치
기업, 캠퍼스,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핵심 경로(Core Path)역할을 수행하고, 고속 L3 스위칭과 라우팅 기능을 통해 전체 네트워크 성능과 안정성을 좌우 함

네트워크 전체 트래픽을 고속으로 전달하고 정책을 통합 관리하는 핵심 경로 장치



기능

  • 고속 L3 스위칭
    : VLAN 간, 서브넷 간 트래픽을 초고속으로 처리하여 최적화함

  • 라우팅 집계
    : 여러 Distribution Switch에서 올라오는 트래픽을 통합하고 최적 경로로 전달함

  • 고가용성/중복 경로 지원
    : 다중 경로, 이중화, 링크 집계(LACP) 등으로 장애 발생 시에도 트래픽을 유지함

  • 정책 전달 허브
    : QoS, ACL, 보안 정책 등의 설정을 상위 계층에 적용하고 전체 네트워크로 확산함

  • 대용량 처리
    : 수백~수천 기가비트 트래픽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대규모 포트와 스위칭 용량을 제공함




역할

  • 트래픽 허브
    : Distribution Layer에서 집계된 트래픽을 Core/Backbone 경로로 전달함

  • 네트워크 중심 경로 확보
    : 전체 네트워크의 데이터 흐름을 조율하고 병목 발생을 최소화함

  • 상위 정책 적용
    : 네트워크 전반의 보안, QoS, 라우팅 정책을 일괄 적용하고 배포함

  • 장애 격리 및 복구
    : 핵심 경로에서 장애 발생 시 백업 경로로 트래픽을 우회시키며 안정성을 유지함

  • 확장성 제공
    : 기업·캠퍼스 규모 확장 시 추가 Distribution Layer와 Access Layer를 무리 없이 연결 가능




존재 이유

전체 네트워크 성능 보장
: 대규모 트래픽을 안정적·고속으로 처리하여 네트워크 병목과 지연을 최소화함

정책·보안 집중 관리
: 네트워크 전반 정책과 보안 규칙 적용의 중앙 허브 역할을 함

확장성 및 유연성 확보
: 네트워크 구조 확장 시 단말·서비스 증가에도 일관된 성능과 안정성을 유지함

운영 효율화
: 트래픽 흐름, 장애 관리, 라우팅 최적화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 가능

profile
나만의 공부 일지... [임시 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