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편log팀은 프론트엔드 개발자 2명 백엔드 개발자 1명이 팀을 이뤄 11월 15일부터 12월 22일까지 포트폴리오 멘토링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 두 분은 비전공자 개발자로써 독학으로 html/css, React를 공부하였으나 취업에 쓸만한 근사
이번 카우치코딩 수업에서는 학생의 코드를 보고 피드백을 주고 리팩토링을 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중 읽기 쉬운 코드를 만들기위해 학생의 코드를 리팩토링 했던 내용을 공유하고자 적어보았습니다. 초보 분들이 코드를 작성할때 참고하면 좋을 것입니다. 너무 구체적인
Spring을 처음 배우는 모든 학생 분들이 가장 많이하는 질문이 그냥 Controller에서 전부 구현하면 안되나요? Service를 왜 만들어야하죠? 라는 질문입니다.Controller에 다 구현해도 똑같이 동작하기 떄문에 이런 질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생각
최근 heroku의 모든 plan이 유료화 되면서 백엔드용 무료 서버가 거이 사라졌습니다. 프론트엔드를 위한 무료 웹 호스팅 서버는 netlify, github page, vercel등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백엔드는 점점 사라지고 있죠. AWS의 free tier를 사
지난 글에서는 프론트엔드에도 테스트가 필요한 이유와 테스트의 종류 그리고 테스팅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직 읽어 보지 못하신 분은 여기'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React-Testing-Library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을 테스트
프론트엔드도 반드시 테스트를 해야하는 이유 예전에는 프론트엔드가 복잡하지 않아 프론트엔드 테스트를 잘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프론트엔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백엔드의 다양한 기능들이 프론트엔드로 옮겨오면서 프론트엔드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프론트엔드를 관리 할 필
도커를 통해 개발환경을 구축할 때 얻을 수 있는 장점과 간단한 디비 구축 예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Git은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할 기술 중 첫번째로 뽑을 정도로 굉장히 중요한 기술입니다. 그 Git을 제대로 공부하기는 매우 어렵고,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그 모든 것을 알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무에서 사용하는 필수 명령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
개발 환경과 Product 실행 환경을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 ex) 로컬 개발환경에서는 h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실제 배포환경에서는 postgres db를 사용하는 경우ex) 보안 파일이나 암호를 모든 개발자에게 공개할 수 없는 경우ex) 로컬 개발환경에서는 oa
개발을 하다보면 위의 그림 처럼 여러가지 조건을 가지고 검색을 해야할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조건이 고정되어 있다면 조금 쉽겠지만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
이전 포스팅에서는 React가 어떤 특징을 가지는 프레임워크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act를 실제로 다루기 위해서 개발환경을 구성하도록 해보겠습니다.React App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선택처는 위의 표에서 보듯이 CDN, CRA, Nex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는 당연 리액트입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영역이 크지 않던 시절엔 프론트엔드 구인 광고에는 약 70% 이상이 리액트 개발자를 원하고 있습니다. 리액트는 어떤 이유로 가장 인기있는 프레임워크가 되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액트의 장
Spring Security는 Spring Application 개발시에 보안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안 프레임워크 입니다. Spring Security는 웹 보안을 위하여 인증 및 보안 관련 로직을 제공합니다. 특히 Spring Security의 가장 중요한 기능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컴포넌트 구조를 어떻게 짜는지가 유지보수에 중요하듯 컴포넌트의 스타일링 또한 리액트의 큰 축으로서 CSS를 어떤 구조로 관리할지 관건입니다. 구조화를 돕는 4가지 기술을 소개합니다. SASS (pre-processor) SASS와 같은 CSS 전처
이번 포스팅에서는 팀 개발 시 개발의 효율을 개선을 해주는 솔루션인 Mock Server에 대해서 설명하고, Postman을 통해서 Mock Server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프로젝트의 개발 효율을 저해시키는 요소에는 정말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Mock
이전 포스팅에서는 웹서비스의 구성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웹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중 CDN, Load Balancer, Web Application Service, Database, File Storage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에 다루지 않은 C
웹 서비스의 구성요소들을 알아봅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DN, Load Balancer, WAS, DB, File Storage에 대해서 다룹니다.
Cookie, Session, JWT의 동작방식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HTTP란?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주로 HTML과 같은 HyperText문서를 주고 받기 위해 만들어졌고, 최근에는 HTML뿐 아니라 모든 웹 관련 API통신에 이용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HTTP 프로토콜은 비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