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설치 후 활용해서 병행할 예정
구구단이 for 문 활용에 좋음
// 구구단 5단
// 출력 : 5 x 5 = 25
for(int i=1;i<10;i++) {
System.out.println(5+"x"+i+"="+(5*i));
}
for(int i=1;i<10;i++) {
System.out.printf("%d x %d = %d\n",5,i,5*i);
}
// printf 활용
결과
5x1=5
5x2=10
5x3=15
5x4=20
5x5=25
5x6=30
5x7=35
5x8=40
5x9=45
5 x 1 = 5
5 x 2 = 10
5 x 3 = 15
5 x 4 = 20
5 x 5 = 25
5 x 6 = 30
5 x 7 = 35
5 x 8 = 40
5 x 9 = 45
// random 구구단
// 2단 ~ 9단 까지의 범위
int ranDan=(int)((Math.random()*8)+2);
System.out.println(ranDan);
for(int i=1;i<10;i++) {
System.out.println(ranDan+"x"+i+"="+(ranDan*i));
}
for(int i=1;i<10;i++) {
System.out.printf("%d x %d = %d\n",ranDan,i,ranDan*i);
}
// printf 활용
결과
6
6x1=6
6x2=12
6x3=18
6x4=24
6x5=30
6x6=36
6x7=42
6x8=48
6x9=54
6 x 1 = 6
6 x 2 = 12
6 x 3 = 18
6 x 4 = 24
6 x 5 = 30
6 x 6 = 36
6 x 7 = 42
6 x 8 = 48
6 x 9 = 54
CentOS 사용
CentOS_8.5.2111_x86_64 Download Link
CentOS-8.5.2111-x86_64-dvd1.iso 파일 다운로드 (약 10GB)
VMware Workstation
Windows용 다운로드 (약 540MB)
다운로드 된 파일 확인
실행
기본 설정 그대로 설치
VMware 실행
free 버전 선택 후 Continue - Finish
실행 화면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 Next
operating system : Linux / Version : CentOS 8 64-bit - next
새 폴더를 만든 후 Browse를 통해 Location 을 선택
Maximum disk size : 60GB - Next
Customize Hardware 클릭
Memory : 16GB
USB : Remove
Sound Card : Remove
New CD/DVD - Use ISO image file - Browse 에서 아까 다운로드한 CentOS iso 파일 선택
만들어진 가상머신
실행 - Install CentOS (방향키와 enter로 선택)
CentOS 설치화면
한국어 선택 - Continue
소프트웨어 선택
워크스테이션 선택 - 완료
설치 목적지 클릭 - 로컬 표준 디스크 체크 후 완료
네트워크와 ~ 클릭
끔 -> 켬
Root 비밀번호 : 111111 완료
사용자 생성
성명 : centos
비밀번호 : 123456
후 설치 시작
설치완료 후 시스템 재시작
이는 가상머신 재부팅이므로 본 컴퓨터랑은 상관이 없음.
가상머신만 재시작됨.
라이센스 정보
약관 동의 - 완료
설정 완료
목록에 없습니가? 로 로그인
사용자 이름 : root
pw : 111111
한글 선택 - 다음 - 다음 - 다음 - 건너뛰기 - 시작
좌측 상단 '현재 활동' 클릭 - terminal 검색
이 터미널을 이용해서 명령어도 익히고 여러 작업을 할 예정
이후 다시 재시작 하여 Centos 로 로그인
pw : 123456
centos 계정으로는 처음 로그인한 것이기 때문에 다시 초기설정을 그대로 해준다.
pwd : 현재 위치를 확인해주는 명령
ls : list, 폴더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
mkdir : 폴더 만드는 명령
cd : 이동하는 명령
vi : 입력기
i : 입력상태 (insert)
esc : 명령상태
(명령상태에서) :wq : 저장하고 나가기
:set nu : line number 보이게 하기 (나가면 다시 안보임)
i : 커서 왼쪽에 입력
I : 커서 행 맨 왼쪽에 입력 (shift + i)
a : 커서 오른쪽에 입력
A : 커서 행 맨 오른쪽에 입력 (shift + a)
o : 커서 아래 항에 입력
O : 커서 위 항에 입력 (shift + o)
yy : line 복사
p : line 붙여넣기
u : 실행 취소 (undo)
:q! : 강제로 나가기 (저장하지 않고 나가기)
history : 터미널창에서 명령내린 목록 확인
history -c : history 삭제
vi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