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ums = [5, 2, 9, 1]
nums.sort() # [1, 2, 5, 9]
nums.sort(reverse=True) # [9, 5, 2, 1]
names = ['Tom', 'Jerry', 'Mike']
sorted_names = sorted(names, key=len) # 길이 기준 정렬 -> ['Tom', 'Mike', 'Jerry']
const nums = [5, 2, 9, 1];
nums.sort(); // [1, 2, 5, 9] → 같아보이지만, [1,2,5,9,10,20]이면 [1,10,2,20,5,9]가 됨
nums.sort((a, b) => a - b); // 올바른 숫자 오름차순 [1, 2, 5, 9]
nums.sort((a, b) => b - a); // 내림차순 [9, 5, 2, 1]
const names = ['Tom', 'Jerry', 'Mike'];
names.sort((a, b) => a.length - b.length); // 길이 기준 정렬: ['Tom', 'Mike', 'Jerry']
int[] nums = {5, 2, 9, 1};
Arrays.sort(nums); // [1, 2, 5, 9]
String[] names = {"Tom", "Jerry", "Mike"};
Arrays.sort(names, Comparator.comparingInt(String::length)); // 길이 기준 정렬
리스트
Collections.sort(list)
list.sort(Comparator)
java
List<String> list = Arrays.asList("Tom", "Jerry", "Mike");
list.sort(Comparator.comparingInt(String::length)); // 길이 기준 정렬
정렬은 프로그래밍의 기본이자 다양한 문제의 출발점이다.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과 내장함수를 잘 활용하면 더 빠르고 안정적인 코드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