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m은 텍스트 파일을 읽고 편집하는 명령어이다.
vim textfile.txt
라고 치면, vim은 기본적으로 파일을 읽는다. 만약 해당 이름의 파일이 없을 경우 해당 이름으로 새로운 텍스트 파일을 생성한다.
vim에는
- ex모드: 문서 저장 or 종료
- 입력모드: 문서 작성
가 있다.
ex 모드는 문서를 저장하거나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처음 파일을 열면 ex모드로 열리는데,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입력모드로 바꾸어야 한다. 그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i, a이다. ex 모드에서 i 혹은 a를 누르면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반대로 입력모드에서 ESC를 누르면 ex모드로 전환된다.
- ex모드로 전환: ESC
- 입력모드로 전환: i, a
ESC를 눌러 ex모드로 바꾼 뒤, :wq를 입력한다. w를 저장, q는 종료를 뜻한다.
- :w 문서 저장
- :q 편집기 종료
- :q! 문서 저장하지 않고 종료. .swp 확장자의 임시 파일 생성됨.
- :wq : 저장하고 종료
- :wd filename 해당 파일이름으로 문서 저장
ex모드에서 문서의 저장 및 종료를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들이다.
다음에 파일을 열 때
E325 Attention
Found a swap file by the name '~.swp'
......
Read Only([0]), Edit Anyway((E)), Recovery((R)), Delete((D)), Abort((A)):
이라는 경고 메세지가 뜨게 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스왑파일을 제거하면 된다.
스왑파일은 숨겨진 파일이어서 ls -a 명령어를 친 뒤
'원본파일명'.swp 파일을 제거하면 된다.
rm '원본파일명'.swp
리눅스에서 파일을 읽고 쓰기 위해서 vim 외에 cat과 touch를 이용할 수 있다.
vim이 문서편집기인 반면, cat과 touch는 다양한 확장자의 파일을 다룰 수 있다.
touch를 이용하면 아무 것도 없는 빈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cat은 파일을 생성하고 읽을 수 있다.
- 파일 생성: cat < filename
- 파일 읽기: cat filename
- 종료: Ctrl+D
cat < filename으로 파일을 생성하면 따로 모드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 vim과 달리 바로 문서를 입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