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S/BFS - 6. 감시 피하기

LEE ·2022년 4월 26일
0

알고리즘 기출문제

목록 보기
20/60

문제

NxN 크기의 복도가 있다. 복도는 1x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지며, 특정한 위치에는 선생님, 학생, 혹은 장애물이 위치할 수 있다. 현재 몇 명의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몰래 복도로 빠져나왔는데, 복도로 빠져나온 학생들은 선생님의 감시에 들키지 않는 것이 목표이다.

각 선생님들은 자신의 위치에서 상, 하, 좌, 우 4가지 방향으로 감시를 진행한다. 단, 복도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 선생님은 장애물 뒤편에 숨어 있는 학생들은 볼 수 없다. 또한 선생님은 상, 하, 좌, 우 4가지 방향에 대하여, 아무리 멀리 있더라도 장애물로 막히기 전까지의 학생들은 모두 볼 수 있다고 가정하자.

다음과 같이 3x3 크기의 복도의 정보가 주어진 상황을 확인해보자. 본 문제에서 위치 값을 나타낼 때는 (행,열)의 형태로 표현한다. 선생님이 존재하는 칸은 T, 학생이 존재하는 칸은 S, 장애물이 존재하는 칸은 O로 표시하였다. 아래 그림과 같이 (3,1)의 위치에는 선생님이 존재하며 (1,1), (2,1), (3,3)의 위치에는 학생이 존재한다. 그리고 (1,2), (2,2), (3,2)의 위치에는 장애물이 존재한다.


이 때 (3,3)의 위치에 존재하는 학생은 장애물 뒤편에 숨어 있기 때문에 감시를 피할 수 있다. 하지만 (1,1)과 (2,1)의 위치에 존재하는 학생은 선생님에게 들키게 된다.

학생들은 복도의 빈 칸 중에서 장애물을 설치할 위치를 골라, 정확히 3개의 장애물을 설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3개의 장애물을 설치하여 모든 학생들을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할 수 있는지 계산하고자 한다. NxN 크기의 복도에서 학생 및 선생님의 위치 정보가 주어졌을 때, 장애물을 정확히 3개 설치하여 모든 학생들이 선생님들의 감시를 피하도록 할 수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N=5일 때, 다음과 같이 선생님 및 학생의 위치 정보가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이 때 다음과 같이 3개의 장애물을 설치하면, 모든 학생들을 선생님의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만들 수 있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이 주어진다. (3 ≤ N ≤ 6) 둘째 줄에 N개의 줄에 걸쳐서 복도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 행에서는 N개의 원소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해당 위치에 학생이 있다면 S, 선생님이 있다면 T,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X가 주어진다.

단, 전체 선생님의 수는 5이하의 자연수, 전체 학생의 수는 30이하의 자연수이며 항상 빈 칸의 개수는 3개 이상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정확히 3개의 장애물을 설치하여 모든 학생들을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출력한다. 모든 학생들을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할 수 있다면 "YES", 그렇지 않다면 "NO"를 출력한다.

구현코드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Node{
	private int x;
	private int y;
	public Node(int x, int y){
		this.x = x;
		this.y = y;
	}
	public int getX(){
	 return this.x;
	}
	public int getY(){
	 return this.y;
	}
}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int n;
	public static String[][] map;
	public static String result = "NO";
	public static ArrayList<Node>teacherLi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String[n][n];
		StringTokenizer st;
		teacherList = new ArrayList<Node>();
		for(int i = 0 ; i < n ; i++){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j = 0 ; j < n ; j++){
				map[i][j] = st.nextToken();
				if(map[i][j].equals("T")){
					teacherList.add(new Node(i,j));
				}
			}
		}
		dfs(0);
		System.out.println(result);
	}
	
	public static void dfs(int depth){
		if(depth == 3){
			bfs();
			return;
		}
		for(int i = 0; i <n; i++){
			for(int j = 0 ; j < n ; j++){
				if(map[i][j].equals("X")){
					map[i][j] = "O";
					dfs(depth+1);
					map[i][j] = "X";
				}
			}
		}
	}
	
	public static void bfs(){
		Queue<Node>queue = new LinkedList<>();
		for( Node t : teacherList){
			queue.offer(t);
		}
		//boolean check = false;
		String[][] copymap = new String[n][n];
		for(int i = 0; i <n; i++){
			for(int j = 0 ; j < n ; j++){
				copymap[i][j] = map[i][j];
			}
		}
		if(!process(queue, copymap)){
			result = "YES";
		}
	}
	public static boolean process(Queue<Node>queue,String[][] copymap) {
		while(!queue.isEmpty()){
			Node now = queue.poll();
			for(int i = 0 ; i < 4; i++){
				if(watch(now.getX(), now.getY(), i,copymap)) {
					return true;
				}
			}
		}
		return false;
	}
	
	public static boolean watch(int x, int y, int direction, String[][] copymap) {
		// 왼쪽
		if(direction == 0) {
			while(y>=0) {
				if(copymap[x][y].equals("S")) {
					return true;
				}
				if(copymap[x][y].equals("O")) {
					return false;
				}
				y--;
			}
			
		}
		// 오른쪽
		if(direction == 1) {
			while(y<n) {
				if(copymap[x][y].equals("S")) {
					return true;
				}
				if(copymap[x][y].equals("O")) {
					return false;
				}
				y++;
			}
			
		}
		// 위쪽
		if(direction == 2) {
			while(x>=0) {
				if(copymap[x][y].equals("S")) {
					return true;
				}
				if(copymap[x][y].equals("O")) {
					return false;
				}
				x--;
			}
			
		}
		// 아래
		if(direction == 3) {
			while(x<n) {
				if(copymap[x][y].equals("S")) {
					return true;
				}
				if(copymap[x][y].equals("O")) {
					return false;
				}
				x++;
			}
			
		}
		return false;
	}
	
}

코드해석

맨처음 문제를 풀때 연구소 문제랑 똑같다고 착각을하고 풀었다. 구현을 하고보니 , 구간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 일직선상에 벽이 막혀있지않고 학생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문제임을 깨닫고 , 구현한게 아까워 수정해서 푸려다가 더 꼬여버릴것 같아서 다 지우고 다시풀었다... 문제를 꼭 똑바로 확인하고 풀자. 문제로 돌아가서. 나는 선생님의 좌표를 ArrayList 에 담고 값을 queue 에 넣어서 queue 가 없을때까지 반복하였다. 그렇게 해서 poll 한 값을 비교하는데 왼쪽, 오른쪽, 위, 아래 부분에 학생이 없거나 있어도 장애물로 가려여 있어야하기 때문에 비교해주면 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