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원으로 일하고 있는 백준이는 퇴사를 하려고 한다.
오늘부터 N+1일째 되는 날 퇴사를 하기 위해서, 남은 N일 동안 최대한 많은 상담을 하려고 한다.
백준이는 비서에게 최대한 많은 상담을 잡으라고 부탁을 했고, 비서는 하루에 하나씩 서로 다른 사람의 상담을 잡아놓았다.
각각의 상담은 상담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기간 Ti와 상담을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 Pi로 이루어져 있다.
N = 7인 경우에 다음과 같은 상담 일정표를 보자.
1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총 3일이 걸리며, 상담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0이다. 5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총 2일이 걸리며,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5이다.
상담을 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1일보다 클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상담을 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서 1일에 상담을 하게 되면, 2일, 3일에 있는 상담은 할 수 없게 된다. 2일에 있는 상담을 하게 되면, 3, 4, 5, 6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할 수 없다.
또한, N+1일째에는 회사에 없기 때문에, 6, 7일에 있는 상담을 할 수 없다.
퇴사 전에 할 수 있는 상담의 최대 이익은 1일, 4일, 5일에 있는 상담을 하는 것이며, 이때의 이익은 10+20+15=45이다.
상담을 적절히 했을 때,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수익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5)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Ti와 Pi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서 주어지며, 1일부터 N일까지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Ti ≤ 5, 1 ≤ Pi ≤ 1,000)
출력
첫째 줄에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출력한다.
package test;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class Consulting{
private int T;
private int P;
public Consulting(int T, int P){
this.T = T;
this.P = P;
}
public int getT(){
return this.T;
}
public int getP(){
return this.P;
}
}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throws IOException{
ArrayList<Consulting>list = new ArrayList<>();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for(int i = 0; i < n; i++){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list.add(new Consulting(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eger.parseInt(st.nextToken())));
}
int[] dp = new int[n];
//dp[list.get(0).getT()-1] = list.get(0).getP();
for(int i = (list.get(0).getT()-1) ; i < n; i++ ) {
dp[i] = list.get(0).getP();
}
for(int i = 1; i < n ; i++){
Consulting now = list.get(i);
// 만약 범위를 넘어가면 넘어가기
if((i + now.getT() - 1) >= n) continue;
int max = Math.max(dp[i - 1] + now.getP(), dp[i + now.getT() - 1]);
for(int j = (i + now.getT() - 1); j < n ; j++) {
dp[j] = Math.max(max, dp[j]);
}
}
/* for(int i = 0 ; i < n ; i ++) {
System.out.print(dp[i]+" ");
}*/
System.out.println(dp[n-1]);
}
}
퇴사 문제는 생각지도 못한 예외가 있어서 처리하고 처리하느라 시간이 좀 걸린 문제이다.
우선 맨 첫값을 dp 배열에 추가해준다 .
추가 해줄 땐 다음과같다.
만약 시간이 3 이라면
0 0 10 10 10 10 10 10 이렇게 저장해 주는 것이다. 왜냐하면 최대 값을 구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값을 변경해주었을 때 뒤에 값들을 모두 최대 값을로 변경시켜준다.
그 다음 값을이 들어오면 범위를 넘는지 확인을 한다.i + now.getT() - 1) >= n
즉 현재 값에서 앞으로 투자해야할 시간을 더한 후 -1을 해준 값이 퇴사날 이전이여야하기 때문에 값 비교 후 범위에 있다면,
(전날 까지 일한 금액의 최대값 + 앞으로 일하고 받을 값) 과 끝나는 날에 저장되어있는 값 중 더 큰값을 구하고.
또 그 값이 뒤에 저장되어있는 배열들보다 작으면 최대값으로 변경, 아니면 그 값은 그대로 두기
를 진행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