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Frequency Response - 1

최우제·2023년 11월 12일
0

자동제어

목록 보기
8/8

여태까진 전달함수를 다 안 상태로 제어를 했지만 실제 상황에선 그러기 쉽지 않다.
그래서 전달함수 모른 채로 실험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사인파를 인가해 Frequency Response를 구해낼 수 있다.

1. Frequency Response

  • 사인파를 입력으로 한 선형 시스템의 응답
  • 초기치 0으로 가정

  • 출력이 입력과 크기와 위상이 다르고 같은 주파수의 사인파

ex) Capacitor의 Frequency Response

ex) Lead Compensator의 Frequency Response

이제 주파수 응답과 과도응답 간의 관계를 알아보겠다.

1-1. 감쇠를 결정짓는 요소

  • 과도응답에선 오버슈트
  • 주파수 응답에선 주파수 응답의 최대 크기(Magnitude)

1-2. ωn\omega_n은 주파수 응답의 대역폭과 같다.

\Rightarrow 상승 시간은 대역폭으로 결정 가능

ex) G(s)=1(sωn)2+2ξ(sωn)+1G(s)=\frac{1}{(\frac{s}{\omega_n})^2+2\xi(\frac{s}{\omega_n})+1}

M(jω)=G(jω)=1(1+(jωωn)2)2+(2ξ(ωωn))2,ϕ=tan12ξωωn1+(jωωn)2M(j\omega)=\vert G(j\omega)\vert=\vert\frac{1}{\sqrt(1+(\frac{j\omega}{\omega_n})^2)^2+(2\xi(\frac{\omega}{\omega_n}))^2}\vert, \phi=\angle tan^{-1}\frac{2\xi\frac{\omega}{\omega_n}}{1+(\frac{j\omega}{\omega_n})^2}

\Rightarrow step response의 overshoot와 주파수 응답의 최대 크기와 관련이 있다.

2. Bandwidth 와 resonant peak

  • 저주파에서 레퍼런스 입력과 출력의 비가 1이면 이상적
    고주파에선 출력이 레퍼런스입력을 쫓아가지 못함
  • resonant peak : 입력과 출력의 비의 peak

\Rightarrow 대역폭(Bandwidth) : 더 이상 출력이 레퍼런스입력을 못 쫓아가는 경계까지의 영역(gain=12\frac{1}{\sqrt 2}이 되기까지의 영역)

ex) Low-Pass Filter

앞서 보았던 예제를 생각하면 감쇠비 에 의해 주파수 응답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대역폭도 달라짐
ξ=0.7ωn=ωBW\xi=0.7 \Rightarrow \omega_n=\omega_{BW}
2차 시스템 T(s)=1(s/ωn)2+2ξ(s/ωn)+1T(s)=\frac{1}{(s/\omega_n)^2+2\xi(s/\omega_n)+1}에선 대역폭이 ωBW2ωn\omega_{BW}\leq2\omega_n이다.
\Rightarrow 감쇠비가 커질수록 대역폭이 작아짐
\Rightarrow 주파수 응답으로 과도응답을 알 수 있음

3. Bode Plot

  • 전달함수의 분자 분모 인수분해하여 표시
  • 보드선도는 다음과 같다.

  • log 형태를 취해 곱을 덧셈 형식으로 바꿔 보기 편하게 할 수 있다.

3-1. Bode Plot의 장점

  • 여러 주파수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을 실험을 통해 구할 수 있다.
  • 제어기 설계에 사용
  • log로 표현해서 합으로 쉽게 표현 가능
  • log로 표현한 덕분에 범위를 더 넓게 표현가능

3-2. 전달함수 크기와 위상으로 표현

  • jωz=(z)(jωz+1)=A(jωτ+1),(AB.........=K0j\omega-z=(-z)(\frac{j\omega}{-z}+1)=A(j\omega\tau+1), (A*B*.........=K_0

이제 KG(jω)KG(j\omega)의 모양에 따른 Bode Plot을 그려보겠다.

3-3. Bode Plot 그리기

3-3-1. KG(jω)=K0(jω)nKG(j\omega)=K_0(j\omega)^n

  • 크기에서 가 10배(log 형태론 1씩 증가)할 때마다 20n씩 증가(기울기 20n)
  • 위상에선 90n도 증가

3-3-2. (jωτ+1)(j\omega\tau+1) 1차 식

  • 크기 plot

ω=1τ\Rightarrow \omega=\frac{1}{\tau}가 break point, τ=10\tau=10 가정

  • 위상 plot

3-3-3. [(jωωn2+2ξjωωn+1]±1[(\frac{j\omega}{\omega_n}^2+2\xi\frac{j\omega}{\omega_n}+1]^{\pm1} 2차식

\Rightarrow break point : ω=ωn\omega=\omega_n, 크기 기울기 변화 : ±2(±40dB/decade)\pm2(\pm40dB/decade), 위상 변화 : ±180\pm180^\circ
\Rightarrow 사실상 점근선을 그리는 방법, 분자, 분모의 jωj\omega를 통해 크기, 위상 점근선이 어느 지점에서 양, 음으로 꺾이는지 알 수 있음

ex)

3-4. (jωτ+1)(j\omega\tau+1)이 아닌 (jωτ1)(j\omega\tau-1)꼴일 때

  • minimum-phase : G1(s)=10s+1s+10[s+1:0(jω=0)90(jω=1j)]G_1(s)=10\frac{s+1}{s+10}\quad[s+1 : \angle0^\circ \quad (j\omega=0)\Rightarrow\angle90^\circ \quad(j\omega=1j)]
  • nonminimum-phase : G2(s)=10s1s+10[s1:180(jω=0)90(jω=1j)]G_2(s)=10\frac{s-1}{s+10}\quad[s-1 : \angle180^\circ \quad (j\omega=0)\Rightarrow\angle90^\circ \quad(j\omega=1j)]
    G1(jω)=G2(jω)\Rightarrow\vert G_1(j\omega)\vert=\vert G_2(j\omega)\vert (크기 그래프는 같음)

4. 정상상태에 관한 Bode Plot

  • DC gain이 클수록 closed-loop 시스템의 정상상태 오차 줄어듬

Low frequency 일 때 (break point 생기기 이전) 다음과 같다.

  • n=0(여기서 n은 Bode plot 기울기, type 0)이고 step input일 때
    예전 수식을 떠올려보면

  • n=-1(type 1)이고 ramp input 일 때

\Rightarrow 이를 통해 Low Frequency 영역에서의 ess 계산 가능

ex) Low Frequency 영역에서의 KvK_v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