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Root Locus -2

최우제·2023년 11월 12일
0

자동제어

목록 보기
7/8

1. 파라미터 수치 정하기

  • 원하는 근이 Root Locus의 pole이 되도록

ex) L(s)=1s[(s+4)2+16],ξ=0.5L(s)=\frac{1}{s[(s+4)^2+16]}, \xi=0.5를 만족하는 근이 어떤 KK값을 가질지

  • Dominant poles : 시스템에 영향을 강하게 주는 허수축과 가까운 pole들
    \Rightarrow 허수축에 가까우면 0으로 수렴 느림, 멀면 0으로 수렴 빠름
  • Dominant pole과 아닌 pole들을 구분하기 위해 Dominant pole과 아닌 pole들의 거리가 3~5배 차이
  • 여태까지 2차 시스템에 관한 시스템 스펙을 알아봤기 때문에 Dominant pole도 2개

ex) 위성 자세 PD제어

\Rightarrow LHP에 있는 zero가 근을 당기는 것을 볼 수 있음 (zero로 근이 수렴해야하기 때문)
하지만 아날로그 회로관점에서 제어기가 미분형태(분자 차수 > 분모 차수)를 가지면 노이즈가 매우 커져 좋지 않다. 그래서 PD제어처럼 미분형태의 제어기를 다음과 같이 만들 것이다.

  • pp\quad(pole)를 추가

\Rightarrow 이 제어기를 가지고 다시 예제를 풀어볼 것 (zero는 기존처럼 –1, p는 –12로 충분히 큰 값)

p\Rightarrow p를 충분히 크게 하면 노이즈 문제없이 PD제어와 비슷하게 Root Locus가 그려짐

반대로 작으면 다음과 같이 된다.

2. 보상기 설계

  • D(s)=Ks+zs+pD(s)=K\frac{s+z}{s+p}
  • 코끼리가 치타처럼 빠르게 달릴 수 없듯이 모델의 스펙을 먼저 파악하고 제어해야한다.
  • 제어기의 3종류
    • Lead compensator
    • Lag compensator
    • Notch compensator

2-1. Lead compensator(중점)

  • PD제어기와 유사, z<p,D(jw)>0z \lt p, \quad\angle D(jw)\gt 0
  • 과도응답 향상, rise time 낮춤, 감쇠비 상승

2-2. Lag compensator

  • PI제어기와 유사, z>p,D(jw)<0z \gt p, \quad\angle D(jw)\lt 0

ex) Lead Compensation

  • 실선 : P 제어
  • 점선 : PD 제어

2-3. Lead compensator의 z, p 선정 방법

2-3-1. 방법 1 (z 먼저, p 나중)

  • zzωn\omega_n과 가까운 곳에 위치 (사실상 일치)
  • ppzz의 5~20배 멀리 떨어뜨려라

2-3-2. 방법 2 (p 먼저, z 나중)

  • pp를 먼저 최대한 멀리 위치
  • 원하는 pole을 정하고 그 pole이 있기 위한 zero 선정

여태까진 2개의 pole가지고만 시스템의 응답을 알아봤는데 추가된 zero의 영향이 있음을 인지해야한다.

ex) 방법 1

\Rightarrow 원하는 스펙 만족 X, pole 궤적이 더 밑으로 내려왔으면 좋겠음(감쇠 up) + p와 z가 서로 너무 가까움, 튜닝 필요

\Rightarrow 스펙 만족

ex) 방법 2

p=20p=-20으로 결정, ψ=180\psi=180^\circ 가 되는 zz값 선정

\Rightarrow 원하는 스펙에 맞지 않아 튜닝 필요

z\Rightarrow z 값을 조정해 튜닝

2-4. Lag compensation

  • 응답은 잘 유지하면서 essKpKvess \downarrow \quad\Rightarrow K_p \uparrow K_v \uparrow

\Rightarrow 높은 주파수 영역에선 제어기가 거의 동작 x

\Rightarrow Root Locus에 영향을 잘 끼치지 않으면서 주파수가 0일 때 DC gain(D(0)D(0))이 크길 희망

ex) G(s)=1s(s+1),D(s)=91(s+2)s+13G(s)=\frac{1}{s(s+1)}, D(s)=\frac{91(s+2)}{s+13}

오차를 더 줄이고 싶어 KvK_v \uparrow원함 => 보상기 추가해 Kv=70K_v=70

\Rightarrow 원점에 p, z 둘 다 매우 가까워서 Root Locus의 전체적인 모양 변형 x

2-5. Notch compensation

ex)

하지만 실제로는 G(s)=1s(s+1)2500s2+s+2500G(s)=\frac{1}{s(s+1)}\frac{2500}{s^2+s+2500} 이었고 nominal하게 시스템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2500s2+s+2500\frac{2500}{s^2+s+2500}이란 빠진 부분이 숨겨져 있었다. 그래서 응답이 다음과 같이 나왔다.

\Rightarrow 감쇠비가 ωn=50\omega_n=50에 비해 작아 진동 안 없어질 것

<G(s)D(s)=1s(s+1)s+2s+13s+0.05s+0.01G(s)D(s)=1s(s+1)2500s2+s+2500s+2s+13s+0.05s+0.01>\quad\quad\quad < G(s)D(s)=\frac{1}{s(s+1)}\frac{s+2}{s+13}\frac{s+0.05}{s+0.01} \quad\quad\quad\quad\quad\quad\quad\quad\quad G(s)D(s)=\frac{1}{s(s+1)}\frac{2500}{s^2+s+2500}\frac{s+2}{s+13}\frac{s+0.05}{s+0.01}>

\Rightarrow 모르던 부분 때문에 시스템이 불안정

이를 해결하기 위해 2가지 방법 사용

2-5-1. Gain stabilization

  • ωn=50\omega_n=50영역일 때 loop gain(L(s)L(s))을 줄이면 그 영역에선 2500s2+s+2500\frac{2500}{s^2+s+2500} 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줄어 들 것

2-5-2. Phase stabilization

  • 불안정하게 만드는 pole 근처에 zero를 추가해 수렴시켜 안정화

K\Rightarrow K값이 너무 커지지만 않으면 안정적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