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에서 약품 투여 최소개수가 2라고 이해했다.아니다 최소개수는 없다. 즉 1 ~ D 까지 막을 선택해서 약품 투여할 수 있다...ㅜ
This study analyzes the feasibility of anomaly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based on data collected by IoT devices on the conditions of indoor spaces
제목에서 보여지듯이 네트워크 상에서 이상 징후를 감지하는 기술들에 대한 survey 논문을 정리한 글입니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와 별차이가 없는데 시간이 5배 넘게 차이난다...collections로 테스트 해봤는데, 그 문제는 아닌거 같고... deepcopy로 매번 통째로 다시 선언하는게 나으려나?최적화는 어려워... ㅠ
BFS를 활용해서 filter를 활용하는 느낌으로 풀었다...이 방법보다는 모든 집의 위치와 현재 서비스할 수 있는 범위를 비교하여 집의 개수를 세어주는게 훨씬 속도가 빠르다.쓸데 없이 비어있는 공간을 셀필요 없기 때문이다.대략 7배 정도 빠르다. (ㅜ 천재들...)
속도가 매우 빠른 다른 사람의 풀이를 봤는데, 만들 수 있는 사각형을 모두 구해서 중복 있는지 체크하는 방식으로 풀었다. DFS 보다 4배 빠르다... ㅠ (다른 사람 풀이 참고 바람...!)
Table Extraction 기술에 대하여 작성합니다. 논문 제목: DeepDeSRT: Deep Learning for Detection and Structure Recognition of Tables in Document
DNN 을 활용한 향상된 Supervised LearningResidual 구조의 의미다양한 DNN 활용방법기존보다 향상된 형태의 Supervised Learning 을 위한 DNN 구조를 이해Residual 구조의 필요성 이해다양한 DNN 활용방법을 이해Kai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