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개발자가 되고싶읍니다...
post-thumbnail

백준 18126 너구리 구구 (with Python)

어떤 문제? 제목에 적힌 문제 입니다 ^^ 내가 작성한 Solution 트리의 개념을 이용해서 풀었습니다. 문제에서 생각해볼 점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은 "노드가 N개 이고 간선이 N-1개로 이루어져 있다." 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을 통해서 보여주고 싶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환하는 트리 구조는 나올 수 없다...! (2, 3, 4, 5 노드를 아무리 움직여

2021년 6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백준 17266 어두운 굴다리 (with Python)

어떤 문제? 백준 온라인 저지에 있는 17266번 문제 어두운 굴다리 입니다. 내가 작성한 Solution 이분 탐색으로 분류되는 문제지만, 이분 탐색으로 풀 자신이 없어서 생각나는 방법으로 풀었습니다. 문제에서 생각해볼 점 주어진 가로등의 위치에서 맨 처음 가로등은 굴다리 입구까지 완벽하게 빛을 비춰줘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맨 마지막 가로등은 굴다리가 끝나는 지점까지 완벽하게 빛을 비춰줘야 합니다. 양쪽 끝을 제외한 가로등은 옆의 가로등과의 거리 절반 만큼 빛을 비춰주면 됩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을 그렸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https://images.velog.io/images/daeungdaeung/post/3bc5c093-0ce3-4d57-beb9-2331dfd16c4b/%E1%84%87%E1%85%A2%E1%86%A8%E1%84%8C%E1%85%AE%E1%86%AB17266%E1%84%8B%E1%85%A5%

2021년 6월 16일
·
0개의 댓글
·

백준 16956 늑대와 양 (with Python)

어떤 문제? Velog에서 처음으로 쓰는 글이라 많이 어색하고 살짝 기분이 묘하네요... ^~^ 개인 블로그를 직접 만들기 전까지 꾸준히 글 올려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늘 제가 풀어보았던 문제는 백준 온라인 저지(이하 백준)에 있는 16956번 문제 늑대와 양 입니다. 문제는 따로 설명 드리지 않고 제가 작성한 솔루션 위주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따라서 문제가 궁금하시다면 백준 홈페이지에서 읽고 오시면 좋겠습니다 ~! 내가 작성한 Solution 아직 알고리즘 능력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코드가 효율적이지 않게 보일 수 있습니다. 코멘트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조언해주신 내용을 고민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문제에서 생각해볼 점 늑대가 양에게 접근하지 못하게 분리하려면 늑대와 양은 무조건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목장에 늑대만 있으면 울타리를 설치할 필요 없습니다. (목장에 양만

2021년 6월 15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