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ude code가 Github private repository의 issue나 PR본문에서 스크린샷을 읽지 못할 때 해결방법

Dahun Yoo·2025년 8월 2일
0

이런저런 글들

목록 보기
2/2
post-thumbnail

문제

요새 Claude code를 사용해서 바이브코딩을 해보고 있다.

어느정도 작업은 완료했고, Github의 issue 기능을 이용해 Claude code(이하 CC)에게 읽힌 후 버그 수정을 하는 플로우를 하려고 했는데, 내 레포지토리가 private 레포지토리라 문제가 발생했다.

위 스크린샷 처럼 issue 기능을 이용해서 스크린샷을 첨부한 버그티켓을 올리고, 이것을 CC에게 읽게했다.

d. If using GitHub, install the gh CLI
Claude knows how to use the gh CLI to interact with GitHub for creating issues, opening pull requests, reading comments, and more. Without gh installed, Claude can still use the GitHub API or MCP server (if you have it installed).

https://www.anthropic.com/engineering/claude-code-best-practices

CC Best practice에 따라 나는 Github CLI 를 설치해서 CC에게 이슈를 읽도록 시켰더니, 내용은 잘 읽어오지만 첨부한 스크린샷이 문제였다.

CLI를 통해 issue 본문을 확인하고, 본문에 기재된 스크린샷의 링크를 긁어서 fetch를 시도하는데, 해당 스크린샷의 저장공간이 private repository라서 인증정보가 없는 CC는 스크린샷 파일을 확인할 수 없는 것이 문제였다.

MCP를 쓰면 가능하려나 싶었는데 Github MCP도 문제는 동일했다.

해결

와중에 한 일본인이 올린 블로그 포스팅을 봤다.

https://zenn.dev/loglass/articles/c244b433b4d03c
https://github.com/YuitoSato/gh-asset

Github CLI의 권한을 이용해서 asset을 직접 지정한 로컬 폴더로 다운로드하게 하는 내용이다.

CC는 로컬에 보관되어있는 그림파일도 읽을 수 있어서 이것을 사용하면 우회할 수 있다.
물론 그림파일을 저장할 폴더 관리를 해줘야하는게 조오금 귀찮긴하지만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여담

추가로 이 문제를 Github MCP Server에 개선 리포트를 했는데 과연 해결이 가능할진...?

끝!

profile
QA Engine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