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트캠프 웹・모바일 10기 챌린지] 10기 웹·모바일 전공자 챌린지 합격 후기

dami0806·2025년 7월 10일
4
post-thumbnail

지원 배경

졸업 후에 개발자로 일하는 것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단순히 취업이 목표라기보다는,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에서 커리어를 쌓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제 실력으로는 네카라쿠베 같은 상위 기업에 도전하기에는 부족했고, 앞으로 어떤 커리큘럼과 방향으로 공부해야 할지 갈피를 잡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3대 부트캠프 중 전공자에게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고 알려진 부스트캠프 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지원서 작성

지원서를 작성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진정성 이었습니다.
현재 제가 어떤 부분에서 부족한지,
그리고 그 부족함을 부스트캠프에서 어떻게 채우고 싶은지를 솔직하게 풀어내고자 했습니다.

혼자 공부하다 보면 이 방향이 맞는지 확신이 들지 않는 순간이 자주 찾아옵니다.
그래서 저는 멘토링과 외부의 피드백이 정말 필요했고,

부스트캠프는 단순히 수업을 듣는 형태가 아니라
미션 수행과 협업을 통해 스스로 성장해나가는 구조라는 점에서,
제 부족함을 채울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점이 이런 저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에 좋은 환경이였고
그래서 동료들과 함께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고싶다는 점을 어필했습니다.


베이직 캠프를 준비하며

베이직 캠프는 문제 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훈련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언어나 도구가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기본적인 준비는 하고 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Java 기반 백엔드 개발을 주로 해왔으며, JavaScript는 처음이었습니다.
하지만 여러 언어를 공부해본 경험이 있어 캠프 시작 1~2주 전부터 JS 문법을 익혔습니다.

JavaScript는 문법이 간단하고 동적 타입 기반이라 처음 적응은 쉬웠지만,
작은 실수가 잦아 console.log 를 자주 활용하며 디버깅하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저처럼 Java 경험만 있었던 분들이라면 꼼꼼히 타입과 해당 변수값을 수시로 확인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2주간의 베이직 캠프

부스트캠프 공식 커뮤니티

베이직 캠프는 약 2주간 진행되며,
매일 미션이 주어지고 코드와 Readme를 제출하는 방식입니다.

기초 개념을 처음부터 기르는 과정이라기보다는,
기본기를 갖춘 상태에서 문제 해결 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처음에 베이직을 임할때는 정말 잘하는분들도 계셔서 다른 사람과 비교하게 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주어진 요구사항에 집중하고 나의 과정 에 몰입하는 태도입니다.

불필요하게 외적인 기능을 추가하기보다,
요구사항을 정확히 분석하고 내가 무엇을 배웠는지 설명하는 것이 훨씬 중요한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기준 그날 습득한 지식들, 접근흐름을 기록했고 쉬운개념이라도 중요한 부분이면 한번더 집고 넘어가도록 정리했습니다.


베이직 캠프 팁

  • 하루 미션은 당일 끝내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하나를 미뤘다가 다음 날까지 겹치면 점점 감당이 안 됩니다.

  • 주말은 보충 시간으로 활용하세요.
    아쉬운 부분이나 못다 한 복습은 주말에 몰아서 정리하는 게 좋습니다.

  • 피어 피드백은 성의 있게 작성하시길 권장합니다.
    단순히 “잘하셨어요”보다는, 다른 사람의 코드를 분석하고 개선 포인트를 찾아주며 제 코드를 다시 보게 되고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 리펙토링 해보기
    과제를 제출하면 체크포인트를 통해 제가 생각했어야했던 목록을 알려줍니다.
    그럼 그 목록과 피어피드백을 토대로 리팩터링을 해봅니다.

  • 남 코드에서 힌트 하나씩만
    무작정 따라치기보다 “어? 이 부분 괜찮다” 싶은 거 하나만 골라서
    내 코드에 적용해보면 전체를 수정하려고 할 때 보다 더 체득이 되었습니다.


내가 느낀 변화와 성장

저는 원래 Readme 쓰는 걸 좋아했습니다.
문제를 그림처럼 단순화시켜서 보기 쉽게 만드는 걸 즐겼고, 그래서 글도 쉽게 쓰는 편이었습니다.

그런데 캠프 기간 중에 다른 분들 글을 보면서, Readme의 깊이가 부족했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내가 배운 내용을 글로 정리할 때, 단순화도 좋지만 지식의 밀도 도 중요하다는 걸 느꼈고

이후에는 개발자들과 소통하는 Readme에는 설명력과 전달력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고 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 코드를 꼼꼼히 읽고 피드백을 남기다 보니 제 코드도 다시 보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놓치고 있던 실수나 부족한 사고 과정을 빨리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다른 분들이 놓친 코드, 불필요한 로직, 좋은 로직 등을 분석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제 코드를 볼 때도 부족한점을 분석 하면서 보게 되었고,
그게 제 성장에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코딩테스트 준비

베이직 캠프에 들어가기 전에 기본기는 어느 정도 다지고 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캠프 중에도 저녁 시간이 남긴 하지만, 체력이 떨어져 공부 효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베이직에 들어가기 전에는 프로그래머스의 카카오 기출 Level 1~2 문제 위주로 풀었고,
캠프 중에는 주로 Level 1 문제를 풀며 머리를 식혔습니다.

단순히 정답을 맞히는 것보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흐름 을 그려보는 연습이 훨씬 도움이 됩니다.

베이직 과정에서 다루는 것도 결국 문제 해결의 흐름이기 때문에
앞으로 있을 코테에도 도움이 될 것이고, 캠프에서도 잘 적응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코딩테스트 팁

베이직 과정과 구현문제를 공부하세요!
베이직 과정이 초반에 시작한 만큼 얼마나 몰입해서 챌린지를 수행할수 있는지도 중요한 기준이 된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 level 1~2 카카오 구현 문제베이직과정 복습을 충실히 하세요!


이 경험을 어떻게 활용할지, 앞으로의 다짐

이번 베이직 캠프를 통해 단순히 코딩 실력을 높인 것을 넘어,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정리하는 힘, 그리고 성장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챌린지와 실전 개발 과정에서도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문제 분석과 명확한 소통을 이어가고 싶습니다.


감사하게도 챌린지에 합격했습니다!!
앞으로 있을 챌린지도 정말 열심히 임해서 합격해서 돌아오겠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