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log
: 커밋 상태 확인
git checkout HEAD^
: 커밋 뒤로 한칸 > 걍 보는 용도인거
git checkout HEAD^^
: 커밋 뒤로 두칸
git checkout -
: 커밋 앞으로 한칸
git switch main
: 커밋 맨 최근으로 되돌리기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 기본 브랜치명 변경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Dayhun/githubtest.git
: 원격저장소를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연결 등록
git branch -M main
: 현재로컬에서 master로 되어있는 기본 브랜치를 main으로 설정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했으면 생략 가능)
git push -u origin main
: (u(upstream):로컬과 원격 연결하기)
origin원격 저장소 Main 브랜치에 현재 브랜치 연결(--set-upstream(단축 : -u) )
echo "# githubtest2" >> README.md
: README.md 파일에 # githubtest2라고 작성하기
배쉬(리눅스명령어)에서 echo = console.log
url을 dev로 바꾸면 원격저장소에서 커밋, 수정할 수 있음.
git clone https://github.com/Dayhun/githubtest2.git
git clone https://github.com/Dayhun/githubtest2.git .
바로 클론 됨.
git branch Garytest
Garytest라는 브랜치 생성
git branch -d Garytest
삭제
git branch Gary
Gary브랜치 생성
git branch
브랜치 확인
git checkout Gary > 개리 브랜치로 이동
git log --all --decorate --oneline --graph
: 모든 커밋 그래프로 보기
push 하려했는데 누군가가 push해서 에러발생한 경우
git pull --re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