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endencies>
<!-- servlet -->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groupId>
<artifactId>javax.servlet-api</artifactId>
<version>3.1.0</version>
<scope>provided</scope>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jsp</groupId>
<artifactId>jsp-api</artifactId>
<version>2.1</version>
<scope>provided</scope>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groupId>
<artifactId>jstl</artifactId>
<version>1.2</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 서블릿 선언 -->
<servlet>
<description></description>
<display-name>DispatcherServlet</display-name>
<servlet-name>DispatcherServlet</servlet-name>
<servlet-class>{서블릿 위치}.DispatcherServlet</servlet-class>
</servlet>
<!-- 요청url에 따른 서블릿 지정 -->
<servlet-mapping>
<servlet-name>DispatcherServlet</servlet-name>
<url-pattern>*.do</url-pattern>
</servlet-mapping>
public class Dispatcher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비즈니스 로직 */
}
@Override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비즈니스 로직 */
}
}
HttpServlet
을 상속받아야 한다.doGet
, doPost
메서드는 HttpServlet
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드 한것으로, 메서드명을 봐도 알다시피 Get요청인 경우 doGet
, Post 요청인 경우 doPost
메서드가 실행된다.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sponse
으로, 클라이언트가 HTTP REQUEST를 보내면 HttpServletRequest
를 생성하고, 해당 요청에 대한 HTTP RESPONSE를 반환하기 위한 HttpServletResponse
를 생성해서 이를 Servlet이 받아서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보낸다.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doGet
() 또는 doPost
()를 호출doGet
() or doPost
() 메소드는 동적 페이지를 생성한 후 HttpServletResponse객체에 응답을 보냄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sponse
두 객체를 소멸웹 서버와의 통신 지원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과 웹 서버가 손쉽게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소켓을 만들고 listen, accept 등을 해야 하지만 서블릿 컨테이너는 이러한 기능을 API로 제공하여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해준다.
그래서 개발자가 서블릿에 구현해야 할 비즈니스 로직에 대해서만 초점을 두게끔 도와준다.
서블릿 생명주기(Life Cycle) 관리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의 탄생과 죽음을 관리한다.
서블릿 클래스를 로딩하여 인스턴스화하고, 초기화 메서드를 호출하고, 요청이 들어오면 적절한 서블릿 메서드를 호출한다.
또한 서블릿이 생명을 다 한 순간에는 적절하게 Garbage Collection을 진행하여 편의를 제공한다.
멀티쓰레드 지원 및 관리
서블릿 컨테이너는 요청이 올 때 마다 새로운 자바 쓰레드를 하나 생성하는데, HTTP 서비스 메서드를 실행하고 나면, 쓰레드는 자동으로 죽게 된다. 원래는 쓰레드를 관리해야 하지만 서버가 다중 쓰레드를 생성 및 운영해주니 쓰레드의 안정성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선언적인 보안 관리
서블릿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보안에 관련된 내용을 서블릿 또는 자바 클래스에 구현해 놓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보안관리는 XML 배포 서술자에 기록하므로, 보안에 대해 수정할 일이 생겨도 자바 소스 코드를 수정하여 다시 컴파일 하지 않아도 보안관리가 가능하다.
init()
메서드를 호출하여 메모리에 적재한다. init()
메서드는 처음 한번만 실행되기 때문에, 서블릿의 쓰레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 오버라이딩하여 구현하면 된다. 실행 중 서블릿이 변경될 경우, 기존 서블릿을 파괴하고 init()
을 통해 새로운 내용을 다시 메모리에 적재한다.init()
메서드가 호출 된 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서 service()
메서드를 통해 요청에 대한 응답이 doGet()
& doPost()
로 분기된다. 이때 서블릿 컨테이너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오면 가장 먼저 처리하는 과정으로 생성된 HttpServletRequest
, HttpSevletResponse
에 의해 request와 response 객체가 제공된다.destroy()
메서드가 호출되는데 마찬가지로 한번만 실행되며, 종료시에 처리해야 하는 작업들은 destroy()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하여 구현하면 된다.<% 소스코드 %>
또는 <%= 소스코드 %>
형태도 들어간다.doPost()
or doGet()
메서드 중 하나를 호출한다.out
객체의 println
메서드를 사용하여 HTML 문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는 추가/수정을 어렵게 하고, 가독성도 떨어지기에 JSP에게 넘겨서 프레젠테이션 로직을 수행 후 컨테이너에게 Response 를 전달한다..class
파일이 만들어지고, 두 로직이 결합되어 클래스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out
객체의 println
메서드를 사용해서 구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JSP 가 대신 수행해준다.[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