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 캠프 프론트엔드(리액트/react) - 3일차 서비스 흐름 잡기

이율곡·2023년 6월 7일
0

부트캠프

목록 보기
3/37
post-thumbnail

3일차 - 서비스 흐름 잡기

오늘 강의는 UML을 활용하여 지난번에 과제로 내주신 마인드맵을 다이어그램화 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할 때 배웠던 내용인데 직접 해 볼 수 있어서 매우 좋은 기회였다. 이전에 공부했던 기억이 살아나고 왜 UML을 사용하는지에 대해 실무적인 얘기도 들을 수 있어서 열심히 참여했다.

이번 강의는 이렇게 한 줄로 정리할 수 있을 거 같다.

사람의 행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가능한 시각화 만들기🗺️

이 한 줄을 중심으로 이번 3일차 수업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UML

우선 UML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약자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문서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모델링 언어다.

간단하게 시각화 Tool이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서화하는 것이다.

UML은 사진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다이어그램을 제공하지만, 이번에는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과 활동 다이어그램을 중심으로 배웠다.

무엇을 기반으로, 주제가 무엇인지 중요하기 때문에
유스케이스와 행위 다이어그램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자.

유스케이스 (Use Case) 다이어그램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의 핵심은 '무엇(WHAT)'이다. 무엇을 중심으로 플렛폼이 관계자들에게 어떤 관계로 정의되느냐를 정의하는 것이다(어떻게(How)는 나중에 판단하는 것). 그래서 사진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블로그 플렛폼을 개발할 것이기 때문에 글쓴이와 관리자와의 관계에 관한 유스케이스 다이어 그램이다.

이렇게 작성을 해봄으로써 액터와 연관관계를 통해 단순하지만, 시스템이 제공하려는 기능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작성자는 글과 시리즈 등의 기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게시판과 시리즈를 관리하는 기능을 만들어야 함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활동 (Activity) 다이어그램

활동 다이어그램은 동적인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세스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활동 다이어그램은 아래의 사진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간단한 글쓰기 프로세스다.

시작과 끝은 원으로 표시하고, 행위는 사각형, Y/N를 나타내는 분기점은 다이아몬드로 표시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게 어떤 프로세스를 나타내는지 육안으로 알 수 있다. 이게 활동 다이어그램이다.


정리하기

머리로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해보아야 한다.🏃

UML은 공부할 당시 머리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막상 유스케이스를 작성하려고 하니까 생각보다 복잡하고 어지러웠다. 늘 이해는 하고 있지만 실천하는 것은 어렵다는 걸 알게 해 준 순간이지 않나 싶다. 오늘 강의 덕분에 앞으로의 수많은 날들의 이해만 하는 순간들을 지울 수 있게 된 거 같다.

또한 오늘뿐만 아니라 배운 내용을 계속해서 스스로 해봄으로써 내것으로 익혀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세웠다. 그 후에는 실무에서도 부족하지 않은 인재가 되는 것을 2차적인 목표로 잡고 계속 전진해야겠다.


본 후기는 유데미-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캠프 학습 일지 후기로 작성 되었습니다.
#프로젝트캠프 #프로젝트캠프후기 #유데미 #스나이퍼팩토리 #웅진씽크빅 #인사이드아웃 #IT개발캠프 #개발자부트캠프 #리액트 #react #부트캠프 #리액트캠프

profile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 음악을 만들 듯, 개발을 좋아하게 될 사람이 쓰는 개발이야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