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Integral
이번 글에서는 르벡적분에 대한 다중적분을 정의해보도록 할 것이다. 다중적분을 하기 위해서는 곱함수가 정의되는 product space와, product space에서 측도로 사용될 수 있는 product meausre이 필요할 것이다.
Product Space
두 위상공간 X,Y에 대한 cartesian product X×Y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X×Y={(x,y):x∈X,y∈Y}
위상공간의 열 {Xi:i∈I} 에 대한 cartesian product는
×i∈IXi={(xi:i∈I):xi∈Xi}
으로 정의된다. 이때 index set I는 countable set일 때뿐만 아니라 uncountable set일 때도 정의된다.
Product σ-algebra
가측공간의 열 {(Xi,Xi):i∈I} 이 주어진다고 하자. Xi 들의 곱공간은 위처럼 cartesian product를 이용해 정의하면 되므로 σ-algebra들의 곱을 정의해보도록 하자.
곱공간 ×i∈IXi에서 정의되는 product σ-algebra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I⨂Xi=σ({Ai××i=j∈IXj:i∈I,Ai∈Xi})=σ({Ai1×⋯×Ain××i1,…,in=j∈IXj:n∈N,i1,…,in∈I,Ait∈Xi∀t=1,…,n})
자세히 보아도 이해가 쉽지 않다😅. 형태를 살펴보면, 어떤 집합이 생성하는 시그마 대수로 정의되는데, 위 식과 아래 식에서 사용되는 집합이 다르다. 우선 첫번째 집합을 살펴보자. 우선 Ai××i=j∈IXj 꼴로 주어지는 집합들을 cylinder set이라고 하는데, 하나의 축 i에 대한 σ-algebra를 기준으로 나머지 축들은 모두 포함한다. 이를 한개의 축 i에 대해 정의된 cylinder set이라는 의미에서 one-dimensional cylinder set이라고도 한다.
반면 아래 식을 보면 이는 n차원 cylinder set을 이용해 σ-field를 생성한다. 즉, 위 정의는 cylinder sets의 차원에 관계없이 같은 product σ-algebra 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i번째 one-dimensional cylinder set을 Ai=Ai××i=j∈IXj 라고 정의하자. 이때 one-dimensional cylinder sets의 모임 {A1,A2,…,Ai,…} 를 생각하면 이는 π-system이 아닌데, 임의의 Ai,Aj 의 교집합을 생각하면 이는 두 개의 축 i,j에 대한 Xi,Xj을 포함해야 하므로 이는 two-dimensional cylinder set이 된다.
따라서 cartesian product space ×iXi에 대한 σ-algebra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사실상 모든 축(i∈I) 에 대한 one-dimensional cylinder sets들로부터 생성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임의의 유한차원 cylinder set으로부터 생성한 σ-algebra는 곱공간의 product σ-algebra가 된다.
Product Borel σ-algebra
Separable metric spaces(Polish space) S1,S2,… 가 주어진다고 하자. 이때
B(S1×S2×…)=B(S1)⊗B(S2)⊗…
이 성립한다. 특히 B(Rd)=Bd 가 되는데, 이는 d차원 유클리드공간의 Borel-σ-algebra가 d차원 박스 I1×⋯×Id 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Product Measure Space
측도공간의 열 (Xi,Xi,μi) 에 대해 product space와 product σ-algebra 를 각각 X=×iXi, X=⨂iXi 로 정의하자. 그러면 각 one-dimensional cylinder set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측도 μ가 (X,X) 에 유일하게 존재하며, 이를 product measure곱측도라고 한다.
μ(Ai××i=j∈IXj)=μ(Ai),∀i∈I,Ai∈X
Tonelli, Fubini's THM
σ-finite한 측도 공간 (S,S,μ) 와 (T,T,ν) 에 대해 다음과 같은 (S×T,S⊗T) 에서의 product measure
(μ⊗ν)(B×C)=μB⋅νC,B∈S,C∈T
이 주어진다. 여기서 (S,S,μ)가 σ-finite 하다는 말은 E1∪E2∪…=S 인 E1,E2,…∈S 가 존재하여 각 Ei의 측도가 유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다음과 같은 다중적분이 성립한다.
-
f:S×T→[0,+∞) 인 경우
∫X×Yfd(μ⊗ν)=∫Y∫Xfdμdν=∫X∫Yfdνdμ
-
f∈L1(μ⊗ν) 인 경우
∫X×Yfd(μ⊗ν)=∫Y∫Xfdμdν=∫X∫Yfdνdμ
-
Reference
- Foundations of Modern Probability, O.Kallenberg
- Real and Complex Analysis, W.Ru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