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dom elements

김당찬·2022년 3월 3일
1

Probability

목록 보기
2/2

Random Elements

저번에 다룬 확률측도 공간(Probability Space, 이하 확률공간) (Ω,F,P)(\Omega,\mathcal{F},P) 를 바탕으로 확률론의 대상이 되는 random elements 대한 내용을 다루도록 할 것이다. (확률측도의 σ\sigma-algebra에 대해서도 인식의 편의(🤔)를 위해 M\mathcal{M} 대신 F\mathcal{F}을 사용하도록 하겠다.)

Tail Events

특별히 확률공간의 σ\sigma-algebra F\mathcal{F} 의 원소들을 사건event이라고 칭하고, 각각의 사건에 대한 확률측도 값 P(A)P(A) 를 확률probability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사건 AA가 True라는 것은 확률 실험probability experiment이 랜덤하게 생성하는 원소 ωΩ\omega\in\OmegaωA\omega\in A 를 만족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ωA\omega\notin A 이면 AA가 False 라고 정의한다.) 만일 확률공간에 사건열 A1,A2,FA_1,A_2,\ldots\in\mathcal{F} 들이 주어진다고 하자. 우선 사건열에 대해 다음 두 가지 경우를 정의하도록 하겠다.

  1. Infinitely Often(i.o) : AnA_n이 무한한 index set n{1,2,3,}n\in\{1,2,3,\ldots\} 에서 True임을 의미한다. 이때 다음과 같이 무한한 사건열을 True로 하는 outcome ωΩ\omega\in\Omega 들의 집합 {An  i.o}\{A_n \;\text{i.o}\} 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n  i.o}=lim supnAn=nknAk={ωΩ:nIAn(ω)=}\{A_n \;\text{i.o}\}=\limsup_nA_n=\bigcap_n\bigcup_{k\geq n}A_k=\{\omega\in\Omega:\sum_nI_{A_n}(\omega)=\infty\}
  1. All but finitely many / Ultimately(a.b.f or ult.) : AnA_n이 유한한 index set에서 True임을 의미한다.
{An  a.b.f}=lim infnAn=nknAk={ωΩ:nIAnc(ω)<}\{A_n \;\text{a.b.f}\}=\liminf_nA_n=\bigcup_n\bigcap_{k\geq n}A_k=\{\omega\in\Omega:\sum_nI_{A_n^c}(\omega)<\infty\}

또한, 두 정의에서 Indicator function을 취하면

I{An  i.o}=lim supnIAnI_{\{A_n\;\text{i.o}\}} = \limsup_{n\to\infty}I_{A_n}
I{An  a.b.f}=lim infnIAnI_{\{A_n\;\text{a.b.f}\}} = \liminf_{n\to\infty}I_{A_n}

으로 표현된다. 이때 Fatou's Lemma을 이용하면

P{An  i.o}lim supnP(An),    P{An  a.b.f}lim infnP(An)P\{A_n\; \text{i.o}\}\geq\limsup_nP(A_n),\;\;P\{A_n\; \text{a.b.f}\}\leq\liminf_nP(A_n)

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확률측도의 연속성과 가산가법성을 이용하면 이전에 살펴보았던 Borel-Canteli Lemma를 얻을 수 있다.

Borel-Canteli Lemma

사건열 A1,A2,FA_1,A_2,\ldots\in\mathcal{F}에 대해 nP(An)<\sum_nP(A_n)<\infty 이면 P{An    i.o}=0P\{A_n\;\;\text{i.o}\}=0 이다.

pf. 확률측도의 연속성과 가산가법성에 의해

P{An    i.o}=limnP(knAk)limnknP(Ak)P\{A_n\;\;\text{i.o}\}=\lim_nP(\bigcup_{k\geq n }A_k)\leq\lim_n\sum_{k\geq n} P(A_k)

인데, 이때 nP(An)<\sum_nP(A_n)<\infty 이면 부등호 우변이 00이 된다.

Random Elements

Probability space (Ω,F,P)(\Omega,\mathcal{F},P)의 Sample space Ω\Omega 에서 어떤 가측공간 (S,S)(S,\mathcal{S}) 로 정의된 measurable한 사상 ξ:ΩS\xi:\Omega\to SSSrandom element라고 정의한다. 또한 S\mathcal{S}의 원소 BSB\in\mathcal{S} 을 생각하면 이에 대해 {ξB}=ξ1(B)F\{\xi\in B\}=\xi^{-1}(B)\in\mathcal{F} 을 대응시킬 수 있다. 그러면

P{ξB}=P(ξ1(B))=(Pξ1)(B),BSP\{\xi\in B\}=P(\xi^{-1}(B))=(P\circ\xi^{-1})(B),\quad B\in \mathcal{S}

으로 정의되는 새로운 set function Pξ1P\circ\xi^{-1}을 정의할 수 있고, 이는 SS에서 정의되는 새로운 확률측도가 되고, 이를 ξ\xi의 (확률)분포distribution라고 부른다.

이렇게 정의되는 random element는 SS가 어떤 공간이냐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린다. 대표적으로 S=RS=\R인 경우 random variable확률변수가 되며, S=RdS=\R^d인 경우 random vector가 된다. 만일 SS가 함수공간function space 인 경우는 이를 stochastic(or random) process확률과정이 된다. 또한, 만일 두 random elements ξ,η\xi,\eta(S,S)(S,\mathcal{S})에서 같은 distribution을 갖는다면 이를 ξ=dη\xi\stackrel{d}{=}\eta 로 표기한다.

Measurable space (S,S)(S,\mathcal{S})ASA\subset S 에 대해 (A,AS)(A,A\cap\mathcal{S}) 도 measurable space가 된다. 그러면 역으로, (A,AS)(A,A\cap\mathcal{S}) 에서의 random element는 SS에서의 random element로 여겨질 수 있다.

Measurable space (S,S)(S,\mathcal{S}) 와 index set TT가 주어질 떄 STS^T를 함수 f:TSf:T\to S 들의 모임class으로 정의하자. 이때 STS^T에서의 σ\sigma-field ST\mathcal{S}^T 를 정의하는데, 이는 πt:STS,    tT\pi_t:S^T\to S,\;\;t\in T , πtf=f(t)\pi_tf=f(t) 로 정의되는 모든 evaluation map πi\pi_i들로부터 생성된다. 만일 어떤 X:ΩUSTX:\Omega\to U\subset S^T 가 주어지고 이떄 Xt=πtXX_t=\pi_t\circ X 로 정의하면 이는 Ω\Omega에서 SS로의 사상이다. 즉, XXtT,ωΩt\in T,\omega\in\Omega 에 대해 T×ΩST\times\Omega\to S 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보조정리가 성립한다.

Lemma 2.1

Measurable space (S,S)(S,\mathcal{S}) 와 index set TT, USTU\subset S^T 를 고정하자. 이때 사상 Xt:ΩSX_t:\Omega\to S 가 모든 tTt\in T 에 대해 S\mathcal{S}-measurable 하면, 사상 X:ΩUX:\Omega\to UUSTU\cap \mathcal{S}^T-measurable 하다.

이떄 위 성질을 만족하는 사상 XXUU에서 path를 갖는 TT에서의 SS-valued random process라고 정의한다. 또한, Lemma에 의해 XXstate space SS에서의 random elements XtX_t 들의 모임으로 볼 수 있다.

Reference

  • Foundations of Modern Probability, O.Kallenberg
profile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https://ddangchani.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