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 조건문과 반복문2 (switch문)

suhyeon chae·2022년 1월 5일
0

본 내용은 자바의 정석 기초편을 기반으로 작성함

또한 자바 스터디활동으로 자바의 정석 기초편 정리


switch문


  • 단 하나의 조건식으로 많은 경우의 수를 처리할 수 있음
  • 처리할 경우의 수가 많은 경우 if문보다 switch문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음
  • switch문은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에 경우의 수가 많아도 어쩔수 없이 if문으로 작성해야하는 경우가 있음
  • switch문은 조건식을 먼저 계산한 다음, 그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 , 이동한 case문 아래에 있는 문장들을 수행하며 break문을 만나면 전체 switch문을 빠져나가게 됨
  • default문의 위치는 상관없으나 보통 마지막에 넣기 때문에 break문은 안써도 됨
  • break문은 각 case문의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함
    • 생략할 시 case문 사이의 구분이 없어지므로 다른 break문을 만나거나 switch문 블럭 { }의 끝을 만날 때 까지 나오는 모든 문장들을 수행함
switch (조건식) {
    case1:
        // 조건식의 결과가 1의 값과 같을 경우 수행될 문장들
        // ...
        break; // switch문을 빠져나감
    case2:
         // 조건식의 결과가 2의 값과 같을 경우 수행될 문장들
        // ...
        break; // switch문을 빠져나감
     // ...
     default :
        //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이 없을 때 수행될 문장들
        // ...
}

switch문의 제약조건


  • switch문의 조건식은 결과 값이 반드시 정수여야 함
  • 조건식의 결과 값과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case문의 값 역시 정수여야 하며 중복되지 않아야 함
    • case문의 값은 반드시 상수여야함
    • 변수나 실수는 case문의 값으로 사용할 수 없음

switch문의 제약 조건

  1. switch문의 조건식의 결과는 정수 또는 문자열이어야함
  2. case문의 값은 정수, 상수(문자 포함), 문자열만 가능하며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profile
예비 클라우드 & 백엔드 개발자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