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지마(Don't Starve Together)라는 게임의 모드를 만들었던 내용을 기록하는 포스팅이다.모드 가이드는 Klei 공식포럼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작성자 본인도 주먹구구식으로 다른 모드파일을 참고해가며 제작했기에 자세한 내용은 정확히 모른다.따라서, 모드를
코드트리라는 코딩테스트 학습 사이트가 있다.이 사이트에는 GitHub 연동을 통해 문제풀이 기록을 Repository에 커밋해주는 기능이 있다.이런 식으로 날짜별로 풀이한 문제를 기록으로 남길 수 있으며, README.md도 작성해준다. 아쉽게도 Repository 메
Git의 기본구조를 파악하고 있다면, 실제로 Git을 사용할 때 어느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원인이 무엇인지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략적인 Git의 구조에 대해 기록할 예정이다.Git은 소스코드 관리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냅샷
Spring 프로젝트를 생성해주는 사이트 또는 IDE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려고하면 Maven과 Gradle을 선택해야하는 순간이 온다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Maven 또는 Gradle을 통하여 주로 의존성관리를 하게된다이번에는 좀 더 자세하게 이것들을 살펴보려고
Gradle과 Maven은 빌드 자동화 도구로 Task 단위로 빌드과정을 나누고, 각 Task간의 의존관계를 이용하여 빌드에 필요한 일련의 과정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자동화한다. 예를든다면 테스트작업이 성공해야만 다음 Task가 실행되도록 빌드루틴을 짤 수 있다.보
프로젝트를 개발하다보면 여러가지 민감한 정보들을 프로퍼티 파일로 관리하게된다. 예를 든다면 DB정보, API key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민감정보들을 원격저장소 게시해버리면 외부에 노출되어 위험한상황(ex : 요금폭탄)이 발생할 수 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젝
옵시디언은 마크다운 기반으로 작동하는 메모작성 프로그램이다.노션과 유사한데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기능이 작고 플러그인을 이용해 커스텀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생각하면 편할거 같다.노션이 있는데 왜 이걸 써야하냐? 는 질문에 명확한 답은 없다.하지만, 평소에 그림을 자유롭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