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mmand-line Application 기능 구현
- 과제 구현
- 고객 블랙리스트 구현
- YAML property 사용하기
- MemoryVoucherRepository 방식만 개발 profile에서 동작하게 하기
2. HTTP(0.9~2.0)까지의 발전 과정 조사
- 블로그 글 작성(링크)
1. Command-line Application 기능 구현(3시간)
- 과제 구현
- 로그 기록하기 + 로그백 설정으로 에러를 기록하기
-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으로 변경
- 실행가능한 jar 파일 생성
2. Command-line Application Spring boot 설정하기(2시간)
- spring으로 작성하던 비효율적인 코드 개선 작업
3. JUnit 개념+실습(2시간)
4. Jdbc CRUD 개념+실습(2시간)
오늘 Command-line Application 기능 구현하면서 혼자서 너무 오랫 동안 고민해서 시간을 너무 썼다. 새벽 다 되서 팀원한테 물어보고 짧은 시간만에 해결되었다. 모르는 것 물어보고 내가 아는 것을 말하면서 Spring의 객체인 Bean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의 개념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처럼 모르면 과감하게 물어보고 해결하자. 혼자서 고통받는 것보다 남한테 물어보면 더 재밌고 금방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