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mmand-line Application 기능 구현(3시간)
- 과제 구현
- 로그 기록하기 + 로그백 설정으로 에러를 기록하기
-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으로 변경
- 실행가능한 jar 파일 생성
2. Command-line Application Spring boot 설정하기(2시간)
- spring으로 작성하던 비효율적인 코드 개선 작업
1. JUnit 개념+실습(2시간)
2. Command-line Application 단위 테스트 작성(1시간)
3. Jdbc CRUD, Jdbc template 개념+실습(6시간)
4. Command-line Application 테이블 추가(2시간)
- Jdbc template 활용하여 구현
- Customer 테이블 정의 및 추가
- Voucher 테이블 CRUD
오늘 드디어 프로젝트에 SpringBoot를 적용하면서 저번 주 목표 과제를 마무리했다. 너무 오래걸려서 좀 문제였지만 SpringBoot의 bean 주입 방식에 대하여 전체적인 이해를 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내일까지 이번 주 공부를 빠르게 끝내고 주말에는 여유롭게 다른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