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n | lost | reserve | return |
---|---|---|---|
5 | [2, 4] | [1, 3, 5] | 5 |
5 | [2, 4] | [3] | 4 |
3 | [3] | [1] | 2 |
예제 #1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제 #2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def solution(n, lost, reserve):
answer = n - len(lost)
complete = []
for l in lost:
if l in reserve:
answer += 1
reserve.remove(l)
complete.append(l)
else:
for c in complete:
lost.remove(c)
for l in lost:
if l-1 in reserve:
answer += 1
reserve.remove(l-1)
elif l+1 in reserve:
answer += 1
reserve.remove(l+1)
if not reserve:
break
return answer
네번째 줄의 for문으로 여벌의 체육복이 있지만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을 제거해준다.
if문 안에서 바로 lost의 원소를 제거하면 for문에서의 l의 순서가 망가지므로, for문이 모두 끝난 후에 lost에서 해당 원소들을 제거.
두번째 for문에서 l-1 또는 l+1이 reserve에 있는지 확인 후, answer의 값을 올리고 l-1 혹은 l+1 값을 reserve에서 제거.
모두 다 실행하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들의 최댓값을 출력.
두번째 for문에서 for와 in을 중첩해서 사용했기에, 시간복잡도는 O(n^2)
def solution(n, lost, reserve):
_reserve = [r for r in reserve if r not in lost]
_lost = [l for l in lost if l not in reserve]
for r in _reserve:
f = r - 1
b = r + 1
if f in _lost:
_lost.remove(f)
elif b in _lost:
_lost.remove(b)
return n - len(_lost)
간결하다. 하지만 for문과 remove를 중첩해서 사용해서 시간복잡도가 O(n^2)이다.
def solution(n, lost, reserve):
reserve = set(reserve)
for size in [0, 1, -2]:
lost = set(map(lambda x : x+size, lost))
reserve, lost = reserve - lost, lost - reserve
return n - len(lost)
바로 위의 코드보다 훨씬 간결하다. set을 사용하여 중복을 없애고 reserve - lost
, lost - reserve
를 해서 체육복을 빌려받은 학생과 빌려준 학생을 지워준다.
for문 한번만 사용하므로 시간복잡도는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