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ekjoon] 2193/이친수/Python/파이썬/다이나믹 프로그래밍

·2025년 1월 23일
0

문제풀이

목록 보기
23/56
post-thumbnail

💡문제

0과 1로만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 한다. 이러한 이진수 중 특별한 성질을 갖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을 이친수(pinary number)라 한다. 이친수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1. 이친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2.이친수에서는 1이 두 번 연속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11을 부분 문자열로 갖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10, 100, 101, 1000, 1001 등이 이친수가 된다. 하지만 0010101이나 101101은 각각 1, 2번 규칙에 위배되므로 이친수가 아니다.

N(1 ≤ N ≤ 90)이 주어졌을 때, N자리 이친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N자리 이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입력

3

예제출력

2

📖내가 작성한 Code

import sys


'''
1. 이친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음
2. 이친수는 1이 두번 연속으로 나타나지 않음
'''


def count_pinary_number(number):
    if number == 1:
        return 1

    prev, curr = 1, 1

    for _ in range(number - 2):
        temp = curr + prev
        prev, curr = curr, temp
    return curr


def main():
    print(count_pinary_number(int(sys.stdin.readline())))


if __name__ == '__main__':
    main()

✍️풀이과정

문해력이 순간 발목을 잡았던 문제. N자리 이친수 개수를 N이하의 이친수 개수라고 잘못봐서 순간 해매이고 말았다. 그냥 피보나치 수열과 같음. 그런데 메모리 128mb길래 최소한으로 사용했는데 N이 90까지여서 아무 상관 없었을 듯.


🧠 코드 리뷰

1.명시적 처리 : 현재 if number == 1만 쓰고 있지만, if number <= 2: return 1로 묶어서 처리하면 1과 2를 한 번에 처리 가능.


🛠️AI 개선 코드

import sys

def count_pinary_number(n):
    """
    길이가 n인 이친수의 개수를 구한다.
    이친수: 0으로 시작하지 않고, 연속된 1이 없는 이진수.
    
    dp[n] = dp[n-1] + dp[n-2]
    dp[1] = 1, dp[2] = 1
    """
    if n == 1:
        return 1
    elif n == 2:
        return 1

    prev_count, curr_count = 1, 1  # dp[1], dp[2]

    # n-2번 반복하며 dp[n]까지 구하기
    for _ in range(n - 2):
        new_count = prev_count + curr_count
        prev_count, curr_count = curr_count, new_count

    return curr_count


def main():
    n = int(sys.stdin.readline())
    print(count_pinary_number(n))


if __name__ == "__main__":
    main()

💻결과

백준문제 보러가기


🖱️참고 링크

DP 예시용 링크

profile
우물 안에서 무언가 만드는 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