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따르지 않는 이름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할 수 있지만 따옴표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var person = {
firstName: 'Jae-hun', //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따른 프로퍼티 키
'last-name': 'Kim' //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따르지 않은 프로퍼티 키
last-name: 'Kim' //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
};
console.log(person); // { firstName: 'Jae-hun', 'last-name': 'Kim' }
// ES5: 프로퍼티 키 동적 생성
obj[key] = 'world';
// ES6: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
var obj2 = { [key]: 'world' };
console.log(obj); // { hello: 'world' }
console.log(obj2); // { hello: 'world' }
<br>
빈 문자열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의미를 갖지 못 하므로 권장하지 않으며, 프로퍼티 키로 숫자 리터럴을 사용하는 경우 따옴표는 붙지 않지만 내부적으로는 문자열로 변환됩니다. var, function과 같은 예약어를 프로퍼티 키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예상치 못 한 에러가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만약 프로퍼티 키 이름에 중복된 이름을 사용한다면 나중에 선언된 프로퍼티의 값으로 덮어 씁니다.
<hr><br>
### 10.5 프로퍼티 접근(p.130~)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 dot notation(마침표 표기법): 마침표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를 사용
- bracket notation(대괄호 표기법):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 ... ]`)를 사용
대괄호 표기법의 경우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 내부에 프로퍼티 키 이름은 반드시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이어야 합니다.
```javascript
var person = {
name: 'Jaehun'
};
// dot notation
console.log(person.name); // Jaehun
// bracket notation
console.log(person['name']); // Jaehun
console.log(person[name]); // ReferenceError: name is not defined
객체에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접근할 경우 ReferenceError가 아닌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var person = {
name: 'Jaehun'
};
console.log(person.age); // undefined
프로퍼티 키가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반드시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를 사용해야 하며, 대괄호 표기법에서도 프로퍼티 키가 숫자인 경우에는 따옴표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var person = {
'last-name': 'Jaehun',
1: 10
};
person.'last-name'; // -> SyntaxError: Unexpected string
person.last-name; // -> 브라우저 환경: NaN
// -> Node.js 환경: ReferenceError: name is not defined
person[last-name]; // -> ReferenceError: last is not defined
person['last-name']; // Jaehun
// 프로퍼티 키가 숫자로 이뤄진 문자열인 경우 따옴표를 생략
person.1; // -> SyntaxError: Unexpected number
person.'1'; // -> SyntaxError: Unexpected string
person[1]; // -> 10 : person[1] -> person['1']
person['1']; // -> 10
위 예제에서 person.last-name
에 대한 오류가 환경 별로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person.last
로 평가됩니다.person.last-name
은 person.undefined-name
과 같은 의미입니다.RefrenceError: name is not defined
에러 발생name
이라는 전역 변수가 암묵적으로 존재하며(전역 객체 window
의 프로퍼티), 기본값은 빈 문자열임, 따라서 person.last-name
은 undefined - ''
로 평가되어 NaN이 됨이미 존재하는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하면 갱신되며,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하면 동적으로 생성되어 추가됩니다.
var person = {
name: 'Lee'
};
// 프로퍼티 값 갱신
person.name = 'Kim';
// 프로퍼티 동적 생성
person.age = 24;
console.log(person); // { name: 'Kim', age: 24 }
프로퍼티를 삭제하고 싶을 때는 delete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사용 시 유의할 점으로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 삭제가 아무런 에러 없이 무시됩니다.
var person = {
name: 'Kim'
};
person.age = 24;
delete person.age;
//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 삭제
delete person.address;
console.log(person); // { name: 'Kim' }
객체 리터럴의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되며, 프로퍼티 값은 변수에 할당된 값, 즉 식별자 표현식일 수 있습니다. ES6에서는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변수 이름과 프로퍼티 키가 동일한 경우 프로퍼티 키를 생략할 수 있는데 이를 프로퍼티 축약 표현
이라고 합니다.
var x = 1, y = 2;
var objES5 = {
x: x,
y: y
};
// 프로퍼티 축약 표현
var objES6 = { x, y };
console.log(objES5); // { x: 1, y: 2 }
console.log(objES6); // { x: 1, y: 2 }
위에서 설명했던 프로퍼티 키 동적 생성 시 문자열 또는 문자열로 타입 변환될 수 있는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을 프로퍼티 키 이름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
이라고 합니다.
var prefix = 'prop';
var i = 0;
var obj = {};
//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으로 프로퍼티 키 동적 생성
obj[prefix + '-' + ++i] = i;
obj[prefix + '-' + ++i] = i;
obj[prefix + '-' + ++i] = i;
console.log(obj); // { 'prop-1': 1, 'prop-2': 2, 'prop-3': 3 }
ES6부터는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을 객체 리터럴 내부에서도 사용 가능해졌으며, 사용 방법은 아래 예제와 같습니다.
const prefix = 'prop';
let i = 0;
// 객체 리터럴 내부에서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으로 프로퍼티 키 동적 생성
const obj = {
[`${prefix}-${++i}`]: i,
[`${prefix}-${++i}`]: i,
[`${prefix}-${++i}`]: i
};
console.log(obj); // { 'prop-1': 1, 'prop-2': 2, 'prop-3': 3 }
ES5에서는 메서드를 정의하려면 프로퍼티 값으로 함수를 할당했으나, ES6부터는 function 키워드를 생략하고 정의가 가능하며 이를 메서드 축약 표현
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메서드는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한 함수만을 메서드
라고 하며, 메서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는 non-constructor로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할 수 없습니다.
var objES5 = {
name: 'Kim',
sayHi: function() {
console.log('Hi! ' + this.name);
}
};
var objES6 = {
name: 'Kim',
// 메서드 축약 표현 사용
sayHi() {
console.log('Hi! ' + this.name);
}
}
objES5.sayHi(); // Hi! Kim
objES6.sayHi(); // Hi! Kim
ES6 명세에서 이렇게 구분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책의
26.2절 메서드
에서 다시 다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