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Terraform Backend 설정 backend.tf 파일을 아래와 같이 작성 provider.tf 파일을 아래와 같이 작성 S3 생성 s3.tf 파일을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콘텐츠가 저장된 서버가 멀리 떨어져있거나 콘텐츠의 크기가 크면 로딩이 지연될 수 있음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으로 이러한 현상을 개선할 수 있음Ama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LAMP란 Linux 기반 위에 Apache 웹 서버, MySQL 데이터베이스, PHP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한 스택 VPC 생성 Backend와 P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LAMP란 Linux 기반 위에 Apache 웹 서버, MySQL 데이터베이스, PHP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한 스택 AMI: Amazon Machin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Custom AMI 생성 AWS 콘솔에서 Custom AMI 만들기 Custom AMI로 만들 인스턴스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이미지 및 템플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Security group 생성 EC2 인스턴스와 EFS 사이에 트래픽이 이동할 수 있도록 Security group이 있어야 함 EC2 인스턴스와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Target group 생성 Load Balancer는 트래픽을 받으면 리스너를 통해 Target group으로 전달 Target group은 Lo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Public Subnet에 있는 EC2 인스턴스 구성 변경 Public EC2의 구성을 위한 Provisioner Public EC2 인스턴스가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웹 서버를 외부와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한 Public Subnet에 두는 것은 보안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음 웹 서버를 외부와 직접적인 통신에 제한되어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복수의 가용 영역에 생성하는 RDS 서로 다른 가용 영역의 Private Subnet에 3개의 RDS를 배치 하나는 Master 데이터베이스, 또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DB 정보 작성 웹 서버에서 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dbinfo.inc 파일 필요 template_file.tf 파일을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하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을 수강하며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Read Replica 생성 rds.tf 파일에 아래 내용 추가 EC2와 Read Replica 연결 template_file.tf 파일을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