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3 3
3 1 2
4 1 4
2 2 2
2
2 4
7 3 1 8
3 3 3 4
3
min()
함수를 이용# N, M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받기
n, m = map(int, input().split())
result = 0
# 한 줄씩 입력받아 계산
for i in range(n):
data = list(map(int, input().split()))
# 현재 줄에서 '가장 작은 수' 찾기
min_value = min(data)
# '가장 작은 수'들 중에서 가장 큰 수 찾기
result = max(result, min_value)
print(result) # 최종 답안 출력
# N, M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받기
n, m = map(int, input().split())
result = 0
# 한 줄씩 입력받아 계산
for i in range(n):
data = list(map(int, input().split()))
# 현재 줄에서 '가장 작은 수' 찾기
min_value = 10001
for a in data:
min_value = min(min_value, a)
# '가장 작은 수'들 중에서 가장 큰 수 찾기
result = max(result, min_value)
print(result) # 최종 답안 출력
min()
메서드를 이용해 2차원 리스트 안에 있는 1차원 리스트들 각각에서 가장 작은 숫자 찾기max()
메서드로 가장 큰 수 찾기import sys
# n은 행의 개수, m은 열의 개수
n, m = 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 숫자 카드를 저장할 2차원 리스트
matrix = [list(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for _ in range(n)]
# 각 행에서 가장 작은 숫자를 찾음
min_list = [min(array) for array in matrix]
# 작은 숫자들 중에서 가장 큰 것을 선택
result = max(min_list)
print(result)
min()
메서드 사용하여 가장 작은 숫자들로 이루어진 리스트 생성max()
메서드로 가장 큰 수 찾기import sys
# n은 행의 개수, m은 열의 개수
n, m = 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 각 행에서 가장 작은 숫자를 저장
min_list = [min(list(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for _ in range(n)]
# 작은 숫자들 중에서 가장 큰 것을 선택
result = max(min_list)
print(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