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는 ubuntu를 사용 하고 있며, 다른 환경일 경우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sudo apt udpate
sudo apt install nginx
보라색이 디렉토리이고 흰색이 파일입니다!
메인 설정파일(nginx.conf)로 Nginx가 로드 될때 디렉토리 내의 모든 .conf파일을 추가 설정 파일로 인식하고 불러와 로드하는 역할을 한다.
NGINX 모듈들의 설정 파일이 모여 있는 곳
실제로 활성화된 모듈 목록
modules-available에 있는 파일을 여기에 심볼릭 링크로 걸면 모듈이 켜짐.
site-abailable 에서 만든 사이트를 site-enabled/에 추가해야 활성화 됨. site-available에 추가한 사이트를 site-enabled/에 심볼릭 링크하여 사이트를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설정 파일이 들어 있는 곳
nginx에서 관리되는 호스트 정보
공통으로 자주 쓰는 문구을 모아두는 폴더
사이트별 설정에서 필요한 부분을 include 할수 있게 모듈화 하는곳 이거는 뒤에 포스팅에 자세히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심볼릭 링크 : 링크를 연결하여 원본 파일을 직접 사용하는 것이다. ex) 웹 naver 아이콘
호스트 : 네트워크에 연결 된 컴퓨터 ex) localhost,127.xxx.xxx.xxx
Nginx가 구동할때 가장 먼저 읽고 구동하기 위한 메인 파일
프록시할 때 공통으로 필요한 헤더(Host, IP, 프로토콜 등)를 정리한 파일
Proxy : NGINX가 80/443에서 요청을 받고, 내부의 Spring 서버(기본 8080) 로 프록시(넘겨주기)
다음 하나하나 폴더 및 파일을 뜯어보면서 정리하겠습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