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요청(공인 IP:포트) → 공유기를 거쳐 내부 IP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내부 서버(192.168.x.x)가 수신하도록 허용해야 합니다. 내가 8080을 열어두면 공인 IP:8080이 접속 되는것!
저는 LG 를사용합니다!
명령어 ip a
명령어 ip a에 들어어 제가 192.168.219.104 = private IP DMZ 등록 해주시고 DMZ 설정에 사용함으로 바꾼다음에 적용 눌러주세요!
여기서도 제가 허용할 포트를 내부포트 서비스 포트 입력하신후에 적용하시면 공유기 설정은 끝납니다!
터미널 창에 명령어
sudo ufw enable // 방화벽 활성화
sudo ufw allow 8080 // 방화벽에 8080포트 열기
sudo ufw status // 상태보기
sudo ufw reload // 방화벽 규칙 재적용
이러면 8080포트 방화벽 허용을 잘한거 같네요!
이러면 우분투 설정도 끝!
server.address=0.0.0.0 #전체 허용
server.port=8080 #포트번호 설정 8080
./gradle build // 빌드
./gradlew bootRun // 빌드 실행
이제 빌드 해주고, 실행하면됩니다!./gradlew bootRun
설정 끝나고 실행 해보겠습니다!
그전에 우분투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일단 잘 실행되네요!
우분투에서 내부 접속망으로 확인해겠습니다
ㅎㅎ스웨거 잘 올라와있네요
제 작업 환경에 mac인 pc 에서도 공인 IP로 접속 성공했습니다!
우분투에서 서버 구축했으나 우분투 안에서 공인 IP로는 접속이 안됩니다!
그래서 다른 PC나 모바일에서 확인해보시는게 좋아요!
명령어 curl ifconfig.me 라고 터미널창에 입력하시면 공인 ip확인할수있습니다.
하.. 3일동안 밤새면서 인터넷 서치 해보고 실패도 엄청해보고 우분투에서 열어서 공인 IP로 접속 안되는것도 알고.. private IP 와 public IP 개념도 이해해하는데 조금 오래 걸렸네요 ...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