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프로그래머스 7문제를 풀었는데, 생각보다 기본 문법에서 머물러서 문제를 푸는데도 어려움을 겪는다. 아직 어떤식으로 풀지 제대로 감이 잘 안오는 것 같다. 이렇게 풀고 싶다는 생각은 있지만, 어떻게 활용해서 풀지라는 부분은 앞으로 꾸준히 채워서 배워야 하는 것 같다.
페어 프로그래밍을 오늘도 진행했는데, 초반의 쉬웠던 문제를 제외하고
내가 잘 몰랐던 메서드도 사용하면서 문제를 풀었다.
어떤식으로 사용할 지 몰라서 네비게이터가 이렇게 적으면 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따라 적는 형식으로 하다보니 오롯이 내가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것 같았다.
스스로 부족함을 많이 느끼다보니,
가장 시간이 많이 걸렸던 문제를 가져왔다.
링크 : 콜라츠추측 - 프로그래머스
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 주어진 수가 1이 될 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눕니다.
1-2.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합니다.
2.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수가 6이라면 6 → 3 → 10 → 5 → 16 → 8 → 4 → 2 → 1 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됩니다.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 하는지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단, 주어진 수가 1인 경우에는 0을, 작업을 500번 반복할 때까지 1이 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해 주세요.
입력된 수, num은 1 이상 8,000,000 미만인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n result
6 8
16 4
626331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설명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16 → 8 → 4 → 2 → 1 이 되어 총 4번 만에 1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626331은 500번을 시도해도 1이 되지 못하므로 -1을 리턴해야 합니다.
function solution(num) {
let cnt = 0;
while(num !== 1){
if (num%2 === 0){
num = num/2
} else {
num = num*3+1
}
cnt++;
if (cnt >= 500) return -1
}
return c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