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킨스는 CI/CD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발 툴이다.
보통 Git에 코드를 업로드할 때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여 지속적 통합 및 배포를 해주는 똑똑한 녀석이다.
젠킨스는 컴파일 오류를 검출, 자동화 테스트, 정적 코드분석으로 코딩 규약 준수 여부 체크, 프로파일링 툴을 활용한 성능 변화 감시 등을 수행한다.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CI / CD가 무엇있지 부터 설명을 하겠다.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를 의미하며 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 되어 공유 리포지토리 (Git) 등에 통합한다.
지속적 서비스 제공은 개발자들이 변경한 사항이 테스트를 거쳐 리포지토리 (Git)에 자동으로 업로드 되는 것을 말한다.
지속적 배포는 개발자의 변경 사항을 리포지토리에서 꺼내 빌드를 수행 후 자동으로 배포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존에 수동으로 배포를 하는 수고로움을 줄일 수 있다.
docker pull jenkins/jenkins:lts
docker images
도커 이미지 확인 명령어로 잘 설치 되었는지 확인을 한다.
docker compose 파일을 생성한다.
version: "3"
services:
jenkins:
image: jenkins/jenkins:lts
container_name: ymshare_jenkins
ports:
- "8080:8080"
restart: always
privileged: true
volumes:
-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 /jenkins:/var/jenkins_home
user: root
environment:
TZ: "Asia/Seoul"
알아 두어야 할 점은 젠킨스 기본 포트는 8080이다.
이후 도커 컨테이너를 올려 다음 화면과 같이 나오면 성공이다.
하단의 비밀번호 입력 창은 docker log를 확인하면 쉽게 알 수 가 있다.
첫 번째 버튼처럼 권장 사항으로 설치를 진행한다.
잠시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된다
계정을 생성 해주면 비로소 설치가 완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