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wap 메모리 늘리기

김득회·2022년 7월 26일
1

오라클 무료 서버를 사용중이다. 무료서버는 하드 50GB와 램 1기가를 지원하는 패키지이다.
하지만 램이 부족하여 간단한 것만 할 수 있지 많은 서비스를 돌리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래서 하드 디스크를 메모리 형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Swap 메모리를 사용해볼 예정이다.

우선 Swap 메모리를 만드는 것 부터 진행한다.

sudo fallocate -l 9G /swapfile9G

root 경로에 9GB 메모리 공간을 생성한다.

sudo chmod 600 /swapfile9G

권한 조정을 하여 root 사용자 이외에는 수정을 못하도록 한다.

sudo mkswap /swapfile9G

파일의 포맷을 swap 포맷으로 변경한 스왑 파일을 생성한다.

sudo swapon /swapfile9G

해당 명렁어로 스왑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sudo swapon --show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생성된 스왑공간을 확인 할 수 있다.

free -h

해당 명령어는 현대 사용중인 메모리 현황을 볼 수 있다.


스왑 공간 재부팅 시 유지 방법

메모리를 설정하면 혹시 모를 상황에 서버가 내려갔다 올라가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해야한다.
따라서 swap 메모리도 유지를 할 수 있어야한다.

sudo nano /etc/fstab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고

LABEL 문구 하단에 스왑 파일을 등록 해주면 된다.

/swapfile9G swap swap defaults 0 0

스왑 공간 생성 완료


스왑 공간 변경

스왑 공간을 늘려야 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하면 된다.

스왑 공간이 처음에 2GB라고 가정을 할 때 9GB로 늘려야 하는 상황이면 무턱 대고 swap 메모리부터 제거를 하면 안된다.

현재 해당 공간을 사용 중인 프로세스가 있을 수 도 있기 때문에 우선 제거를 지양한다.

순서는 먼저 swap 메모리를 늘린 다음 기존에 있던 것을 지우는 순서로 진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 대로 swap 파일을 생성하여 필요한 만큼 swap 공간을 설정한다.

그 다음 swapon을 하여 두개의 swap 파일을 올린다.

그 다음 swapoff를 통해 기존에 있던 스왑을 내려 주면된다.
새로 생성한 swap 파일이 /swapfile가 있다고 가정하고, 기존 /swapfile2G를 종료해 보도록 하겠다.

sudo swapoff /swapfile

해당 명령어로 swap 파일을 해제한다.

sudo rm /swapfile
profile
감성 프로그래머 HoduDeuk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