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두 개의 n개 요소를 갖는 정수 배열이 주어진다.
두 배열의 같은 인덱스 중 어느 하나라도 1이라면 벽 (="#")이다.
두 배열의 같은 인덱스 모두 0이라면 공백(=" ")이다.
배열의 한 요소는 지도의 i번 째 row를 의미한다.
정수값을 이진수로 변환한 결과 1은 벽, 0은 공백.
두 정수배열로 원래 비밀지도를 만들어라.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 int[] arr1, int[] arr2) {
String[] answer = new String[n];
for (int i=0;i<n;i++) {
// 이진수로 변환
String b1 = toBinary(arr1[i], n, new StringBuilder());
String b2 = toBinary(arr2[i], n, new StringBuilder());
StringBuilder tmp = new StringBuilder();
for(int j=0;j<n;j++) {
// 이진수로 변환된 결과 같은 인덱스 중 어느 하나라도 '1' 이라면 벽으로 처리 (#)
if (b1.charAt(j) == '1' || b2.charAt(j) == '1') {
tmp.append("#");
// 모두 0이라면 공백으로 처리
} else {
tmp.append(" ");
}
}
// i 번째 로우 완성
answer[i] = tmp.toString();
}
return answer;
}
// 이진수로 변환 메서드
public String toBinary(int n, int size, StringBuilder sb) {
// 재귀 종료조건
if (n<=1) {
sb.append(String.valueOf(n)); // 0또는 1일테니 이진수의 결과로 붙여줌
while (sb.length() < size) { // 0 즉 공백 또한 필요하므로 0부분까지 채워줌
sb.append("0");
}
return sb.reverse().toString(); // 역순으로 뒤집어줘야 제대로 된 이진수 String이 나온디.
} else {
// 이진수로 변환
sb.append(String.valueOf(n%2));
n/=2;
return toBinary(n, size, sb);
}
}
}
Integer.toBinaryString
....... ㅎ
매개변수로 |
조건을 쓴 것도 참 인상적입니다..
replaceAll
도 생각하지 못했네요..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 int[] arr1, int[] arr2) {
String[] result = new String[n];
for (int i = 0; i < n; i++) {
result[i] = Integer.toBinaryString(arr1[i] | arr2[i]);
}
for (int i = 0; i < n; i++) {
result[i] = String.format("%" + n + "s", result[i]);
result[i] = result[i].replaceAll("1", "#");
result[i] = result[i].replaceAll("0", " ");
}
return result;
}
}
코드가 보기 좋네요~~!! 꾸준한 포스팅 기대하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