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사항 : 이 포스팅은 개인 학습 및 교육적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제공하는 정보를 악용하여 불법적인 행위를 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습니다. 타인의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기 위해 명시적인 동의를 받아야 하며,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 구분 | 윈도우 | 리눅스 |
|---|---|---|
| 파일명 | 대소문자 구분 X | 대소문자 구분 O |
| 파일명 특수문자 제한 | <, >, :, ", /, \, |, ?, * 불가 | / 불가 |
| 디렉토리 접근 | 드라이브 문자(C:, D: 등)로 시작 |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 |
| 디렉토리 구분 문자 | 역슬래시(\) | 슬래시(/) |

| 구분 | 윈도우 | 리눅스 |
|---|---|---|
| & | 이전 명령어의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다음 명령어를 실행 | 명령어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
| && | 첫 번째 명령어가 성공적으로 실행된 경우에만 두 번째 명령어를 실행 | 첫 번째 명령어가 성공적으로 실행된 경우에만 두 번째 명령어를 실행 |
| ; | X | 여러 명령어를 명령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순차적으로 실행 |
→ 명령어 추가로 파일 열람/수정/삭제/생성 등을 이행할 수 있다.
→ "윈도우 : & echo 악성코드 > 악성파일, 리눅스 : ; echo '악성코드' > 악성파일" 과 같은 형태로 악성코드를 주입할 수 있다.
출처
https://www.askdifference.com/linux-file-system-vs-windows-file-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