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CTF에 참여하면서 리눅스 없이 참여했었는데.. 중간에 필요한 문제가 있어 종료 이틀 전에 급하게 설치하였습니다.
곧 한번 더 참여할 일이 있어 이번에는 미리 세팅해두고, Tool과 사용 방법을 미리 정리해두고자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라즈베리파이는 이렇게 생긴 신용카드 크기의 싱글 보드 컴퓨터 입니다.
개발도상국에서 기초 컴퓨터 교육을 위해 개발되었는데, 가성비 좋은 미니 컴퓨터라서 인기가 많습니다.. (당장 저만 하더라도 개인서버용으로 24시간 한 대 구동하고 있구요..)
비슷하게 생긴 아두이노라는 것도 있는데, 아두이노는 컴퓨터가 아닌 개발 보드 입니다.
라즈베리파이는 OS가 있어야 동작하고, 아두이노는 OS가 필요없는 대신에 C/C++을 바탕으로 동작합니다.
정보보안에 관심이 많거나, 리눅스를 찾아보다가 한번 쯤은 들어보셨을 수도 있는 이름인데. Debian을 기반으로 제작된 해킹 툴이 사전 세팅되어있는 OS 입니다.
일반 우분투나 OS를 설치하면 직접 apt-get install binwalk
... 등 직접 설치 명령어를 입력해주고 설정도 다 해줘야하는데 칼리 리눅스같은경우는 왠만한 프로그램들이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다 개인적인 일이라서.. 해당 섹션은 그냥 그렇구나~ 라고 읽고 넘어가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PC사양 때문입니다. 저는 2019년에 출시된 LG그램을 2024년 지금도 사용 중 입니다.. 컴퓨터 스펙이 조금 낮다보니 도커와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구동하기엔 한계가 있어 분리하고자 했습니다.
그렇다면 '클라우드에 설치해도 되는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물론 맞는 말이고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것 보다 더 효율적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걸 한달 내내 켜둘 필요도 없고, SSH 접속할 때마다 허용IP를 설정해주는 것도 귀찮고, 요금 문제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현재 개인서버용으로 구동 중인 라즈베리파이 외에도 놀고 있는 라즈베리파이가 있어서, 그냥 간단하게 사용하고자 라즈베리파이에 칼리 리눅스를 설치해주었습니다.
SD카드에 데이터가 있거나, 이미 다른 OS가 설치된 경우 SD Card Formatter를 이용해 SD카드를 포맷 후 진행해주세요.
Raspberry Pi Imager를 열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장치 선택 버튼을 눌러주세요.
라즈베리파이5/4/3 등 설치할 라즈베리파이를 누르면 됩니다.
그 다음에는 운영체제를 선택을 누르고, Other specific-purpose OS
-> Kali Linux
를 눌러주세요.
그 다음엔 32bit, 64bit 등 세부 옵션 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도 옵션을 눌러주세요.
그 다음으로는 칼리 리눅스를 설치할 SD카드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위 사진처럼 OS 커스터마이징을 설정할 수 있는데, SSH를 통해 사용하실꺼라면 설정 편집을 눌러주세요.
설정 편집을 하지 않는 경우 SSH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있어, GUI 밖에 뜨지 않습니다.
OS 커스터마이징 설정화면에 진입하면 일반/서비스/옵션 탭이 있습니다.
아래 표 내용을 참고하셔서 설정해주세요.
탭 | 설정명 | 설정내용 | 비고 |
---|---|---|---|
일반 |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 | X | Kali Linux의 경우 이 지원되지 않음 |
일반 | 무선LAN 설정 | 와이파이 정보 | 와이파이를 사용할 경우 선택 |
일반 | 로케일 설정 지정 | 시간대: Asia/Seoul | - |
서비스 | SSH 사용 | 인증방법: 비밀번호 | 공개키 인증과 비밀번호 인증이 있습니다. 비밀번호로 선택해주세요. |
설정을 다 하시면 저장을 누르고, OS커스터마이징을 적용하시겠습니까?
창에 예
를 누르고 SD카드에 작성을 시작해주세요.
작성이 다 되면,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꽂고 전원을 인가해주시면 됩니다.
OS 커스터마이징 설정에서 SSH 설정이 되어 있고,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 연결된 네트워크 망에서 바로 SSH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Termius
나 Xshell
등 SSH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
최초 접속 시의 계정은 id: kali
, pw: kali
입니다.
정보수집, 취약점 분석, 웹 어플리케이션 분석 등 다양한 툴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세부적인 프로그램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 글에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