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우리가 작성한 소스코드는 위에서 아래로 실행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앞으로 학습할 제어문은 실행 흐름을 끊고, 조건에 따라 실행되거나, 반복해서 실행되거나, 분기처리를 통해서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절차지향이라는 말은 엄밀히 말하면 틀린 말입니다.Procedure라는 용어는 '절차'가 아니라 '프로시저'로 읽어야합니다.나무위키에도 자세히 정리되어 있습니다.절차지향이라는 말은 왜 나오게 되었을까요?현대 언어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패러다임 두 가지를 꼽자면, 객
예약어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다. 키워드는 언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이며, 구문 분석의 대상이다.
https://github.com/ksundong/docker-elk-kor 급하신 분들은 여기를 사용하세요.Docker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플랫폼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합니다.맥에다가 설치했다가 지우는게 귀찮아서 Docker로 깔끔하게 사용하고자
멱등성이 무엇인지 알고계신가요? 멱등성이란, 수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뜻합니다.이 멱등성은 왜 HTTP Method와 연관이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코드스쿼드 2020 마스터즈 코스 백엔드 클래스 멤버 Dion입니다.코드스쿼드 6개월 과정을 수료하기까지의 과정과, 수료하고 난 후의 생각 등을 공유하고자 회고를 올립니다.
이 정리는 Local 환경에서 Jenkins 서버를 Docker에 설치하고 Github 연동을 하는것을 목표로 합니다.Jenkins는 CI&CD를 환경을 제공하는 자동화 서버입니다.Jenkins를 Local에 Docker로 설치하는 이유는 EC2에 설치하는 공식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