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에 대한 탐구

이진우·2024년 3월 8일
0

스프링 학습

목록 보기
26/46
post-thumbnail

Spring 의 특징

스프링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길래 그토록 많이 쓰는지 찾아본다.

IoC/DI

IoC란

Inversion of Control 의 줄임말로 제어의 역전이라고 한다.
제어의 역전객체들간의 관계 및 호출을 개발자가 아니라 스프링 프레임 워크에 맡기는 것을 뜻한다.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우리는 객체의 생성 및 초기화 등등을 직접 관리하였다.

하지만 Ioc 를 통한다면 프레임워크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통제하고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를 호출한다.

이 IoC 는 DI

DI란

Dependency Injection 의 줄임말로 의존성 주입이라고 한다.

객체지향에서 의존성이란 각 객체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받고 그에 따라 결과가
서로에게 영향을 받고 그에 따라 달라지는 것
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매개변수나 리턴값으로 다른 객체에 영향을 미치거나 받는 것을 의존성이라고 한다.
특정 객체가 변할 경우 그 변경의 영향이 다른 객체에게 많은 영향을 준다면 의존성이 높다라고 한다.

그렇다면 의존성 주입이란 말 그대로

Ioc/DI 예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을 들어 이 부분을 이해해 보겠다.

LoginService 는 현재 A 기능으로 개발하고 있으나, 나중에 B 기능으로 바뀔수도 있다

public interface LoginService {

      String Login();

}

Login 기능이 여러가지가 나올 수 있으므로 interface로 설정하였다.

public class ALoginServiceImpl implements LoginService{

    @Override
    public String Login() {
        return "A Login 기능으로 전환";
    }
}

위는 그 interface 를 구현한 로그인 기능이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alue = "/login")
public class LoginController {
     LoginService loginService=new ALoginServiceImpl();

     @GetMapping
     public String Login(){
         return loginService.Login();
     }
}

시간에 지남에 따라 B로그인 기능이 개발된다.

public class BLoginServiceImpl implements LoginService{

    @Override
    public String Login() {
        return "B Login 기능으로 전환";
    }
}

하지만 이에 따라서 controller 단의 코드를 변경해 주어야 한다!!

아래와 같이 말이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alue = "/login")
public class LoginController {
     LoginService loginService=new BLoginServiceImpl();

     @GetMapping
     public String Login(){
         return loginService.Login();
     }
}

이는 특정 객체(LoginService)가 변했기에 그 변경의 영향으로 다른 코드(LoginController)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의존성이 높다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스프링에서는 어떻게 방지하는가?? @Bean으로 등록해서 이 부분을 해소할 수 있다.

@Component
public class BLoginServiceImpl implements LoginService{

    @Override
    public String Login() {
        return "B Login 기능으로 전환";
    }
}
  • B 로그인 Impl 부분을 Bean 으로 등록한다.
  •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alue = "/login")
    public class LoginController {
    
         @Autowired
         LoginService loginService;
    
         @GetMapping
         public String Login(){
             return loginService.Login();
         }
    }
  • 필드 주입을 통해서 빈으로 등록된 객체를 LoginService에 넣어준다
  • 이를 통해서 ALogin 기능으로 바꾸든 ,BLogin 기능으로 바꾸든 우리는 LoginController 의 코드를 바꿀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서 의존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이는 외부에서 LoginService 에 BLoginServiceImpl 을 넣어줌으로써 DI(의존성 주입) 을 실현하고 또한 로직의 흐름을 직접 제어 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기에 Ioc(제어의 역전) 을 실현하는 듯 하다!!

    AOP

    AOP 정의

    AOP 란 Aspect-Oriented Programming 의 줄임말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을 의미한다.

    관점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메소드나 객체의 기술을 핵심관심사와 공통 관심사로 분리하여 프로그래밍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핵심 관심사란 객체가 가져야할 본래의 기능이며, 공통 관심사는 여러 객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이다.

    흔히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은 로깅, 트랜잭션 ,보안 등등인데
    개발자 필요에 따라서 자신이 필요한 부분을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AOP 는

     @Async
        @AfterReturning(pointcut = "annotationPointcut()", returning = "result")
        public void checkValue(JoinPoint joinPoint, Object result) throws Throwable {
            NotifyInfo notifyProxy = (NotifyInfo) result;
            notifyService.send(
                    notifyProxy.getReceiver(),
                    notifyProxy.getNotificationType(),
                    NotifyMessage.YATA_NEW_REQUEST.getMessage(),
                    "/api/v1/yata/" + (notifyProxy.getGoUrlId())
            );
            log.info("result = {}", result);
        }

    이렇게

    어노테이션으로 알림 기능이 필요한 메서드마다 쉽게 알림 기능을 AOP 로 활용할 수도 있고,

    출처:https://develoyummer.tistory.com/106

    동시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Lock을 사용할 때도

    아래 코드와 같이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ReviewService {
    
        private final RedissonClient redissonClient;
    
        @Transactional
        public void changeStatus throws(Status desiredStatus) {
            // 레디스 락 데이터 생성 후, 3초 락
            RLock lock = redissonClient.getLock("key 이름");
            
            try {
                boolean isLocked = lock.tryLock(2, 3, TimeUnit.SECONDS);
                if (!isLocked) {
                    // 락 획득에 실패했으므로 예외 처리
                    throw new Error( ... );
                }
            
                // 새로운 심사 생성 로직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 쓰레드가 인터럽트 될 경우의 예외 처리        
            } finally {
                // 락 해제
                lock.unlock();
            }
           	
        }
    }

    설정할 수 있으나,

    changeStatus 라는 메서드는 핵심 로직이 따로 있는데 중간에 Lock 에 대한 코드가 들어가게 되므로 관심사가 분리가 안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Lock을 여러 코드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Aop를 적용하면 훨씬 깔끔하게 이를 다룰 수 있다.

      @Around("@annotation(band.gosrock.domain.common.aop.redissonLock.RedissonLock)")
        public Object lock(final ProceedingJoinPoint joinPoint) throws Throwable {
            MethodSignature signature = (MethodSignature) joinPoint.getSignature();
            Method method = signature.getMethod();
    
            RedissonLock redissonLock = method.getAnnotation(RedissonLock.class);
            String baseKey = redissonLock.LockName();
    
            String dynamicKey =
                    generateDynamicKey(
                            redissonLock.identifier(),
                            joinPoint.getArgs(),
                            redissonLock.paramClassType(),
                            signature.getParameterNames());
    
            RLock rLock = redissonClient.getLock(baseKey + ":" + dynamicKey);
    
            log.info("redisson 키 설정" + baseKey + ":" + dynamicKey);
    
            long waitTime = redissonLock.waitTime();
            long leaseTime = redissonLock.leaseTime();
            TimeUnit timeUnit = redissonLock.timeUnit();
            try {
                boolean available = rLock.tryLock(waitTime, leaseTime, timeUnit);
                if (!available) {
                    throw NotAvailableRedissonLockException.EXCEPTION;
                }
                log.info(
                        "redisson 락 안으로 진입 "
                                + baseKey
                                + ":"
                                + dynamicKey
                                + "쓰레드 아이디"
                                + Thread.currentThread().getId());
                return callTransactionFactory
                        .getCallTransaction(redissonLock.needSameTransaction())
                        .proceed(joinPoint);
            } catch (DuDoongCodeException | DuDoongDynamicException | TransactionTimedOutException e) {
                throw e;
            } finally {
                try {
                    rLock.unlock();
                } catch (IllegalMonitorStateException e) {
                    log.error(e + baseKey + dynamicKey);
                    throw e;
                }
            }
        }

    위 코드를 통해 aop 를 설정하고

    
       @RedissonLock(LockName = "쿠폰", identifier = "couponId")
       public Long execute(Long userId, Long issuedCouponId) {
     

    위 코드와 같이 단순히 어노테이션으로 관심사를 분리할 수 있다.

    출처: https://github.com/Gosrock/DuDoong-Backend/blob/dev/DuDoong-Domain/src/main/java/band/gosrock/domain/common/aop/redissonLock/RedissonLockAop.java

    스프링 빈

    스프링 빈이란?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재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이다.
    빈은 인스턴스화된 객체를 의미하며 new 키워드 대신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스프링 빈의 생명주기는
    스프링 IoC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메소드 호출 → 사용 → 소멸 전 콜백 메소드 호출 → 스프링 종료 의 라이프 사이클을 갖는다.

    실제로 디버깅을 통해 스프링 빈이 생성되고 의존관계가 주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프링 빈 생성:ALoginServiceImpl>

    <의존관계 주입>

    <초기화 콜백 메서드 호출>

    스프링 어노테이션 분석

    어노테이션이란?

    메타데이터란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아니라 컴파일 과정과 실행 과정에서 코드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추가 정보이다.

    자바의 어노테이션은 소스코드에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의 일종이다.

    어노테이션 활용 스프링 빈 등록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스프링 빈을 등록 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가 존재한다.

    하나는 @Configuration 과 @Bean 을 사용해서 빈을 수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이 존재하고 다른 하나는 @Component 를 이용, 자동으로 빈을 등록하는 방법이다.

    @Configuration + @Bean

    @Configuration
    public class ConfigureTest {
    
        @Bean
        public Hello hello(){
            return new Hello();
        }
    
    }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 빈을 등록할 수 있다.
    hello 라는 빈 이외에도 ConfigureTest 라는 빈도 함께 생성된다.

    @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BLoginServiceImpl implements LoginService{
    
        @Override
        public String Login() {
            return "B Login 기능으로 전환";
        }
    
        @PostConstruct
        public void start() {
            System.out.println("B Login 빈 시작합니다");
        }
    
        @PreDestroy
        public void end() {
            System.out.println("B Login 빈 사라집니다");
        }
    }

    위와 같이 Component를 사용해서 빈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Configuration이 Bean 으로 등록되었었던 이유는

    아래 사진과 같이 Configuration 에도 @Component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흔히 사용하는 @Controller, Service 등등 모두 @Component 가 존재하기 때문에 빈으로 등록되어서 사용된다.

    @Component vs (@Configuration + @Bean)

    간단하게 차이점을 알아본다.

    첫 번째 차이점은 선언위치이다.

    @Bean 같은 경우 Target의 ElementType이 METHOD 임을 알 수 있고

    위 내용을 통해서 @Bean은 메서드위에만 붙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Component 의 경우 ElementType이 Type이기에 클래스 위에 선언해야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두 번째 차이점은 사용용도이다.

    외부 라이브러리 클래스의 경우 우리가 그 위에다가 직접 Component를 달 수 없으므로, @Bean 을 통해 빈 등록이 가능하다 .

    예를 들면

    Swagger는 외부라이브러리 이므로 @Bean 으로 등록한다!!

    스프링에서 자동으로 ComponentScan이 이루어지는 과정

    Springboot application 에는 @ComponentScan 이 존재한다.

    @ComponentScan(excludeFilters = { @Filter(type = FilterType.CUSTOM, classes = TypeExcludeFilter.class),
    		@Filter(type = FilterType.CUSTOM, classes = AutoConfigurationExcludeFilter.class) })
    public @interface SpringBootApplication {

    ComponentScanAnnotationParser 클래스에서 Set<BeanDefinitionHolder> parse(AnnotationAttributes componentScan, String declaringClass) 의 메서드를 통해 빈에 대한 doScan을 하여 스캐닝을 하는 걸로 보이며
    이를 통해 `@Component의 어노테이션을 가진 객체를 식별하여 빈으로 등록하기 위한 스캔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그 스캔된 결과의 빈들이

    위와 같이 scannedBeanDefinitions 를 통해 넘어오는 것을 볼수 있었다.

    참조:https://minkukjo.github.io/framework/2020/07/09/Spring-133/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

    개념을 먼저 알아본다.

    단위 테스트하나의 기능 또는 메서드 를 뜻하는 모듈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진행하는 테스트이다.

    반면 통합 테스트실제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클래스들을 통합하여 테스트이다.

    단위 테스트 특징

  • 통합 테스트는 여러 컴포넌트들 간의 상호작용을 테스트 하기 때문에 모든 컴포넌트들이 구동된 상태에서 테스트해야 한다. 이에 따라 테스트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데 단위 테스트는 이와 다른 특성을 갖는다
  • 단위 테스트는 해당 기능에 독립적인 테스트 이기 때문에 가짜 데이터(Mock) 을 넣어서 진행한다
  • 통합 테스트 특징

  • 독립적인 기능보다 전체적인 연관 기능과 웹 페이지로 부터 API를 호출하여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확인
  • 운영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 테스트 단위가 커서 디버깅이 어려울 수 있다
  • profile
    기록을 통해 실력을 쌓아가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