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소개 2022.12.01 목 ~ 2023.02.16 목 기간동안 테오와 파랑이 진행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터디에 참가했습니다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책을 사용했습니다 스터디는 크게 책의 내용을 위주로 한 1부 함수형 프로그래밍 이해와 따로 준비해주신 2
친구와 백준 문제 풀이를 진행하면서 백준 10026 적록색약 문제를 해결했습니다일반 dfs, bfs 문제와 유사하지만, 적록색약인 경우에 대한 정답을 추가로 구해야 하는 문제입니다제 해설을 듣고 친구가 의견을 제시해주어 해당 내용으로도 풀어보았습니다dfs() 함수를 돌
유튜브 알고리즘에 console.log만 쓰냐는 변수에 원하는 값이 있는지 확인할 때 console.log() 출력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확인해야할 사항이 많다거나, 정확히 어느 부분인지 몰라서 여러곳에 console.log()를 사용한다면 개발자조차 햇갈릴 수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를 수강하고 2022년 9월 ~ 10월에 많은 회사에 지원하고 면접을 봤을 때, 2곳에서 api 요청 외에 promise를 사용하는 코드를 물어봤습니다공통적으로 sleep을 만드는 코드였는데 2곳 모두 대답하지 못했었고, 이후에 찾아보지도 않았던 내
uuid란 무엇이고, 언제 사용하는지그리고 그걸 대체할 수 있는 crypto 객체의 crypto.randomUUID() 메소드에 대해서 정리합니다uuid는 범용적인 고유 식별에 사용될 id를 뜻합니다주로 사용할 때는 다른 값과 중복되지 않은 고유 값을 생성해야 할 때
현재 회사에서 vue.j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아직도 vue를 미숙하게 다뤄서 생기는 문제들이 있어서 개념을 다시 공부하고 있습니다이 글은 vue.js의 data 중 제가 미숙하게 이해한 부분을 정리합니다vue를 공부하려고 왔다면 공식문서를 추천드립니다어떤 데이터
react-native에서 표로 데이터를 보여줄 일이 생겨서 table component를 찾고 있었습니다react-native-table-component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했었으나, 큰 카테고리 데이터 안에서 세부 내용을 보여줘야 했습니다위 링크의 Exampl
최근 면접 본 회사에서 나온 질문이 있었습니다위 코드의 결과가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이었는데해당 질문을 통해서 typeof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공부했고, 함께 언급되는 instanceof와 비교해서 글을 작성합니다typeof는 변수나 값의 자료
최근에 Expo를 통해 웹과 모바일 앱을 동시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React-Native Mui를 사용하고 있는데 style을 수정한 방법을 공유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Modal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주고 확인을 받고자 했습니다React-Nativ
데브코스에서 최종 프로젝트로 진행한 책 스터디 지원 서비스 책모이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배포했었습니다분명 잘 돌아가고 있었는데 갑자기 팀원분의 제보로 에러를 알게 되었습니다SSR을 사용하는 스터디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때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리고이후 Vercel 504
데브코스에서 진행한 개인 프로젝트 - 노션 클론을 리팩토링하면서 생성자 함수로 작성된 컴포넌트를 클래스 문법으로 변경했습니다리팩토링하면서 클래스는 어떤 특징들이 있는지 공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new 키워드와 함께 사용해서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를 생성자 함수라고 합니다생
프로젝트에 Axios를 도입하면서 interceptor를 사용해서401에 대한 에러 처리를 해본 경험, token을 가져오는 로직을 리팩토링한 경험을 공유합니다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보낼 때 fetch()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Axios는 fetch()보다 더 다양한 기능
Vercel Serverless 예제 이후 바로 프로젝트에 vercel serverless 함수를 적용하려 했으나post, put method와 body 조작이 필요해서 관련 내용을 git, vercel 배포링크에 추가했습니다그 내용을 블로그에도 작성하겠습니다npm i
예전에 노션 클론 코딩을 하고 회고 글을 작성했었습니다미뤄놨던 배포와 버그 수정, 리팩토링을 진행할 예정입니다그 중 배포할 때 api 요청 url과 관련 api key에 대해서 숨겨야 하는 사항이 있어서 vercel의 serverless function을 먼저 도입하게
모 기업의 채용 과제에 사용했던 화면에 들어왔을 때 애니메이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스팅하겠습니다기본적인 애니메이션 코드입니다새로고침하면 나타난것처럼 동작합니다여러 사이트에서 스크롤을 내려서 화면에 잡혔을 때 슝~ 하고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을 본적이 있으신가요
eslint를 보통 검색해서 다른분들이 사용하는걸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데브코스에서 프로젝트나 과제를 진행하고, 채용 과제에서도 eslint를 계속 사용하다 보니 관련 셋팅에 대해서 공부하고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react 프로젝트를 생성 eslint 추가, .v
이 파트의 예시 코드는 Youtube - Web Dev Simplified - Every Beginner React Developer Makes This Mistake With State 동영상을 번역했음을 알립니다.user라는 상태 데이터가 있습니다select 버튼을
맥북을 구입하고 5일째 되는 오늘평소처럼 데브코스 강의를 듣고 개인 리포에 정리하던 중 package.json이 git에 올라가지 않았습니다내용을 바꿔봐도 git이 내용이 바뀜을 감지하지 못했습니다한 2시간 삽질하고 알아내긴 했습니다git이 package.json을 감
6월 7일 화요일 ~ 6월 22일 수요일까지 약 2주간 데브코스 중간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간략한 프로젝트 소개와 담당 개발 파트를 언급하고, 다음엔 이렇게 해야겠다 싶은 부분들을 정리하겠습니다GAMEBU는 게임을 같이할 파티를 구하는 종합 SNS 사이트입니다위 링
mui를 사용해서 데브코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mui에서는 여러 컴포넌트의 예시를 볼 수 있는데Box 컴포넌트가 div 태그와 다른점은 무엇인지,sx로 css를 적용하는 것과 style로 css를 적용하는 것이 무엇이 다른지 찾아보게 되었습니다react에서 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