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센터란?
▪ 수많은 컴퓨터들이 연결되기 위해 네트워킹 하는 것
🔸 IP Address란?
▪ 컴퓨터에 주어진 숫자로된 주소값
▪ 즉, IP SW를 통해서 메세지를 주고 받는 컴퓨터들이 본인이 누구인지를 알리기 위한 주소
🔸 Port Number란?
▪ 하나의 컴퓨터 안에서 소프트웨어의 주소값
▪ 그림설명
-25번) e-mail을 학교웹메일을 사용하는 경우, 25번 서버에게 보냄 IP Address가 25번이니까 SMTP에 메일을 부탁함
-80번) 구글,네이버의 웹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80번 주소, HTTP를 사용함
📢 IP Address : 컴퓨터를 찾아가는 주소
📢 Port Number : 컴퓨터를 찾아서 프로그램을 찾아가는 경우
🔸 Domain Name란?
▪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
🔸 Domain Name System (DNS)란?
▪ 사람은 웹브라우저에 있는 영어 주소로 작성하지만
▪ 이것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경해야 함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란?
▪ IP주소를 빌려주고 회수하는 기법
▫ 컴퓨터가 통신을 할때만 임시로 IP주소를 빌려주고, 컴퓨터가 통신을 하지 않으면, IP주소를 가지고 있다가 다른 사람에게 빌려줌
▫ 즉, IP주소가 부족함으로 필요할 때 주고-반납하는 기법들은 서버&데이터센터 안에서 많이 사용됨
🔸 HTTP (1)
▪ 웹브라우저나 웹서버가 기술적으로 0.1의 모양을 만들어서 서로 주고 받는 소프트웨어
▫ HTTP 클라이언트가 HTTP 서버에 요청하면, HTTP 서버가 HTTP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함
▫ Naver, Google : 데이터센터에서 돌아가는 것은 웹서버
▫ HTTP를 주고받는 클라이언트들과 서버는 소프트웨어임
🔸 HTTP (2)
▪ HTTP를 통해 Naver, Google 사이트를 가져옴
▫ Naver, Google page는 한 화면이지만, 다양한 기능(검색, 사진, 글, 영상 등)이 존재함
▫ 이런 기능들은 각각 다른 서버에 저장함
▫ 즉, 한 화면에 여러개 component를 채우는데, 이는 각 다른 서버에서 가져온 것임
▫ HTTP response는 위에 있고, HTTP request는 아래에 있음
🚩 정리
▶ IP Address : 숫자로 컴퓨터가 어디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있음
▶ Port Number : 컴퓨터 안에 소프트웨어들의 주소
▶ Domain Name : 사람이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진 주소
▶ DNS : Domain Name을 IP Address로 전환하는 서비스/서버
▶ DHCP : IP Address가 부족하니, 빌려주고 회수하는 서버
▶ HTTP request & HTTP response :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프로로콜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서버가 주고 받는 것
🌝 이 모든 것이 한 화면에서 다양한 서버로 이루어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