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프로그래밍02(1)

서유리·2022년 3월 18일
0
post-thumbnail

02-Cloud Computing And Infrastructure

🟠 Topic
▪ Cloud computing의 정의
▪ Utility computing & cloud computing의 경쟁력
▪ Cloud computing의 구성요소 & 서비스 모델
▪ Cloud computing의 성장배경
▪ Cloud computing의 이슈

🔹 Cloud computing(1)
▪ 클라우드 컴퓨팅이 수많은 컴퓨터들을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사용함
▪ 즉, 수백만대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많은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가 가능함

🔹 Cloud computing(2)
▪ 보이지 않는 곳에 컴퓨터가 존재하지만, 그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추상적인 개념을 가짐
▪ 어딘가에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가 존재함으로, 수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
▪ 즉, 구름 안에 있는 computing power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

🔹 Cloud computing(defined)
▪ 눈에 보이지 않지만, 어딘가에 있음 ➡ 본인의 컴퓨터에서 쉽게 사용 가능
ex. 핸드폰 사용자는 상관없지만, 실제 운영자의 경우, cpu만개 + 디스크도 필요함
▶ 즉, 내가 필요할 때 쓰고, 내가 안쓸 때 다른 사람이 사용함
▪ Cloud computing이 빌려쓰는 2가지
(1) 서비스
-구글, 웹메일 등 ➡ 사람이 사용하는 서비스 자체
(2) 하드웨어, SW(개발자 입장)
-데이터센터 안에 있는 하드웨어 인프라들과 SW들을 통해서 구현 가능
▶ Cloud computing : 필요시 사용하는 서비스나 하드웨어 기초자원을 필요시 사용
▶ 데이터센터 : 위와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인프라 & SW
Cloud computing 빌려쓰면 좋은점?
(1) 본인이 필요한 서비스를 요청하면 대부분 수용 가능
(2)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돈을 지불하기 때문에 쓰지 않으면, 돈을 내지 않아도됨(💰최소비용💰)
(3) 사용량에 따라 돈을 지불하기 때문에 공평함 ➡ 필요할때 필요량만 사용
ex. Google app : Cloud computing 플랫폼을 빌려줌
ex. 아마존 : 웹서비스를 통해 빌려줌
ex. Naver : 디스크, cpu를 빌려줌

🔹 Public Clouds vs. Private Datacenters
▪ 장점
(1) 빌려쓰는 입장에서 구글/아마존 보다 더 많은 용량을 요구하지 않음
➡ 사용자 입장에서는 무한으로 빌릴 수 있고, 초기에 사용하지 않으면 돈을 내지 않음
(2) 대기업은 큰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같은 작업을 저렴하게 할 수 있음
➡ 직접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것보다, 저렴할 수 있음
(3) 회사의 경우, 계열사마다 컴퓨터를 각각 사용하는 것보다, 한 곳에 모으는게 더 효율적임
➡ 적은 수의 컴퓨터로도 활용 & 효율성👍 가격👎 효과가 있음
🙂 대기업의 경우, 수만대의 CPU가 있어서, 같은 인프라를 가지고 있더라도 서로 다른 운영체제와 같은 요구사항이 하나의 공통된 환경에서 지원 가능!

(ref) M. Armbrust et al., “A view of cloud comput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53, no. 4.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pp. 50–58, Apr-2010.

profile
best of best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