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707 TIL

이은택·2021년 7월 7일
0

TIL

목록 보기
20/141

아침에 읽어보고 하루 시작하기

  • 2주차 완료후 3부터 5주차까지 최대한 집중을 하면서 2배속으로 다 본후 과제 시작?

    • 어떻게 집중력을 높일건데?

      1. https://www.youtube.com/watch?v=-a4cHjSauQ8&ab_channel=공부의신강성태

        • 구석기 시대 집중력! 바로보이는 사냥감!
        • 사냥감 = 명확한 목표!
          • —> 가까운 목표! 즉 내가 어떻게 실행 할지 구체적으로 아는 가까운 목표를 잡는것!
      2. https://www.youtube.com/watch?v=cNTDRUxl5P0&ab_channel=사오TV

        • 하품 뇌산소 부족아니라 뇌온도올라가서 낮추려고하는것 바람쐬기
        • 낮잠 - 뇌의 신경세포간의 틈새 공간이 넓어짐 → 뇌 노폐물 청소더 쉬움
        • 정리정돈 - 정리정돈 되지 않은 주변환경은 뇌가 더 피곤하게 만듬
        • 제한시간 설정 - 너무 여유있는 시간은 뇌에 자극이 없음
          • 노르에피네프린(뇌 신경전달물질) - 집중력에 항상 관여
            • 나오는 타이밍
              • 인지 - 지금 하는일의 중요성, 하지 않을시 닥쳐오는 위험
                • 예) 시험기간이(제한시간이) 다가올수록 집중력 빡!
      3. https://www.youtube.com/watch?v=66nSlYgwQBg&ab_channel=서울대소자쌤

        • 초집중시간이 포인트

          • 시간보다 해야될것을 적고 하나하나 지워나가는 법

          • 작은 채크리스트를 달성했으면 뇌에게 refresh하는 시간을 주기5분10분 정도

          • 최소한 수면시간이 보장이 되어야함

          • 공부효율과 시간의 사고방식

            의지 (공부하는 시간 최고의 효율 발휘해야겠다라는 의지)

            —[치환]—> 집중력

TimeTracking

12:34

숙면 (4시간 37분)

5:11

운동을 시작한지 이틀 됐는데 오히려 아침에 쌩쌩한거 같음

스트레칭

5:24

세안

5:33

아침식사

6:04

하이 크루원

6:15

구강세척

6:32

TIL 작성

7:10

  • 하루 목표 채크리스트 작성

    • 과제 요구사항 첫번재 회원가입 페이지 만들기 해보고 과제요구사항에 따른 구체적인 목표 설정

    • 운동후 샤워시간 줄이기

      • 40분에서 15분으로 줄이기

        머리1-바디1 - 면도1- 행굼 2 - 폼클1- 행굼1- 발1-행굼1- 건조5

7:22

break

7:50

셀프녹화보기 심심할때 보기 ㅋㅋㅋ[33:00] 3인칭관점에서 나를 지켜보는 재미가 있음

8:00

  • 시간사용 가능 뼈대 잡기

    8:00

    자율 3시간반

    11:30

    점심

    1:00

    자율 3시간

    4:00

    운동(유산소30분≤ +스트레칭2번30분,근력30분)+샤워20분+에어컨 빵빵한데서 몸온도내리기 10분

    • 운동시간 아깝다?
      - 집에 왔다 갔다 하는 시간을 운동하는 시간으로 치환 한다고 생각하기
      - 이점
      - 체력증진
      - 시작한지 이틀 밖에 되지 않아서 단정 지을수는 없지만 잠을 평소와 같이 4-5시간 자면서 운동을 하면 더 피곤할 것 같았는데 체감상 운동을 한 날이 오히려 정신이 더 말짱해지고 집중력 업! 그리고 수면 퀄리티가 높아짐
      - 단점
      - 하루중 1시간 30분을 운동에 할애하면 과제 완료 하지 못할시 운동한 것에 대한 죄책감이듬(주객전도)

      6:00

      저녁

      7:00

      자율 5시간

      12:00

      TIL

      12:30 - 1:00

      자러가자

      최대 1시간 공부하면 10분쉬는 6:1 비율을 맞추되 집중이 잘될때 시간 맞추려고 굳이 쉬려고 할 필요 ㄴㄴ

  • 최고의 효율로 공부하기

    총 자율가능시간 = 3시간30분 + 3시간 + 5시간 = 11시간 30분

    총 자율시간 = 6시간 + 3시간50분 = 9시간50분

    총 쉬는 시간 = 11.5 / 7 = 1.63 = 1시간 38분

8:50

과제집중

9:04

break 잠온다

927 수면 21분

인지 가능 격처

당충전+커피

9:44

요구사항 다 읽어보기

크루원에게 시작하는법 배우기

11:24

break

11:32

인생경험

12:17

점심

1:10

다음주 진로 고민

1:25

break

구강 세척

1:50

사이트 테스트 해보고 필요한거 어떻게 구현할질 찾아보기

2:10

낮잠

2:35

작은 체크리스트 목록 테스트

3:00

방향성, 물어보기, 그냥 복붙이 아니라 왜라는 의문을 가지고 넘어가기

4:30

도시락 정리

4:56

break

5:01

운동

6:10

샤워15분

6:25

6:40

저녁

7:15

항해톡

7:50

7:58

공식문서 읽는다는데 뭐 어떤식인지 애매함

8:15

  • 코딩
    1. 회원 가입 페이지 구상

9:00

  • 크루원에게 도움요청

    • 심화주차 과제 완주 과감하게 포기하고 이해하는것만 스켈레톤 코드 주석처리해서 깃헙 올리기

    • 크루원 공부 방식 1주차부터 5주차를 한사이클로 치고 이해 될때까지 무한반복?

    • 튜터님이 제시한 공부법

      • 일단 강의가 이해 안되어도 핵심 키워드만 기억하고 넘어가고 과제를 수행할때 필요한 부분을 짚어서 다시 강의목록을 사전처럼 활용해서 그부분만 파악!
    • 내가 해온 공부법

      • 기본주차 2주인가 3주차까지 보다가 이해안되서 한사이클 빨리 돌리려고 3배속보고 그다음 과제하려고 하는데 턱 막하서 다시 2주3주차 에서 막히고 과제 제출 이틀 남았을때 항해크루원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가이드 받으면서 이해하고 만들어서 제출(다시 만들 수 있지만 스스로 만든게 아님)

      • 심화주차(1-2주차 보고 2주차 숙제까지 하는데 몇일 걸려서 안되다가 과제 시작하고 전반적인 키워드나 이해한 지식이 부족해서 다시 봐야 된다고 생각이듬)

      • 스스로 생각하는 원인

        • 다들 같을 상황일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컨디션 조절 실패가 원인

          • 나의 최소 수면시간을 찾는 기간이여서 낮에 머리가 안돌아가고 계속 졸리기만함

          • 사이클을 여러번 돌려서 일단 틀을 파악 그다음 다시 보는게 이해가 될수도 있음

          • 강의 전체를 한사이클로 보고 학습하는것과 강의 주차별로 한사이클을 보고 학습하는 것중 전체를 한사이클로 보고 학습하는것이 효율이 좋은것 같음

            • 전체를 한사이클로 보고 학습하는것이 이해가 안되도 넘어가고 프로젝트할때 이해가 된다고 했던 부분에서 전체 틀을 여러번 돌린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음

            • 어떻게 학습을 할 것인가?

              • 일단 시간이 문제인데

                • 기본주차 1시간 24분 + 47분 + 1시간 5분 + 50분 + 1시간 31분

                  = 5시간 37분

                • 숙제는 사이클 돌릴때마다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무지성이여도 반복 하면 눈과 손에 익히는게 있어서 된다 10번 찍어서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라는 학습방식? 일단 학습방법이 막연하지가 않아서 좋은 것 같음

                • 대다수에게 좋은 방법일 지라도 나에게는 좋지 않은 방법일 수도 있으니 내가 맞다고 생각하는것도 좀더 귀를 귀울이는 것 중요!

10:00

2시간동안 2-3배속으로 최대한 4주차까지 한사이클 돌리기

  • 노드 기초 1주차

    • 1

    • 2

    • 3

      • 노드 V8엔진으로 빌드된 엔진 - 브라우저 없이 자바스크립트를 돌릴수 있음?
      • ECMAScript
      • npm - stands for node package management
    • 학습전략 변경

      코드를 같이 치면서 이해를 할 것인가 아니면 강의를 보면서 이해를 하며 노트 테이킹을 할 것인가?

      • 일단 코드를 치면서 하다보면 에러 한번이라도 나오면 진도 나가는데 엄청 애먹기 때문에 2번정도 강의사이클을 돌리고 이해 됬다 싶을때 코드로 같이 구현하면서 한사이클 돌리고 마지막에는 먼저 구현하고 강의에서 구현한것과 내것과 비교하는 식으로 진도 빼기
      1. 핵심 키워드 노트테이킹 하면서 2-3배속 강의 멈추지 않고 진행
      2. 2번정도 1번과정 반복
      3. 코드따라치기
      4. 먼저 쳐보고 그다음 강의 코드와 비교해보기
    • 4

      • var변수 왜 var쓰지?? hoisting 되는 걸로 알고 있음
      • 잘못들었나? dictionary를 객체라고 한거 같은데 객체 맞나보네
        • 객체라는 개념이해 부족
    • 5

      • ez
    • 6

      ez

    • ES6 새로운 문법 7- 10

      • 7

        • var는 {} 밖에서도 영향을 끼침 그래서 let이라는 놈을 쓴다
        • hoisting
          • 변수를 상단으로 끌어올려서 실행하는변수
          • 굳이 var를 쓸상황이 있을까? 오히려 더 복잡하기만 할뿐일듯
      • 8 반복문 종류

        for(let i of list){
        console.log(i)
        }
        리스트 안에 있는 값을 다출력

        for (let index in lists) {
        console.log(list[index])
        }
        리스트안에 있는 값을 다 출력

        list.forEach((i) ⇒ {
        console.log(i)
        })

      • 9 Arrow function

        • 기존 함수 프레임

          • function hello () {...}

            function hello() {

            console.log("original frame")

            }

        • arrow function 프레임

          • hello = () ⇒ {...}
            • 해설: hello라는 변수에 arrowfunction이라는 함수를 담은것
          • arrow function 호출법
            • variable();
            • arrow function을 선언을 할때 "변수 = ~~" 라고 선언을 해서 인자를 안붙여도 될것 같지만 이 함수를 만든사람은 호출할때 변수뒤에 인자를 붙이는 식으로 호출하게 만들어둠
        • arrow function 함수가 한줄만으로 실행되는 경우 코드블럭{} 사용 안해도 됨

          • hello = () ⇒ ....
        • this라는 것은 어떤 놈이냐!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this

          나중에 이해해도됨

      • 10 Promises

        • 비동기 처리때 사용되는 문법

        • 콜백지오을 해결 하기 위해서 나온 문법

        • promise 3 가지 상태

          •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Promise {}
          • const promise = new Promise ((resolve, reject) ⇒ {

            resolve();

            }

            • Promise{: undefined}
          •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reject();

            }

            • Promise {: undefined}

11:00

break

11:03

강의 달리는중

11:30

11:48

  • 학습팁 전수받음

    한번에 이해안되는건 넘어가는데 시간을 들이면 이해 될것 같은 감이 오는 것은 어떻게 했었는지 물어봄

    • 이해 될것 같은 감이 오면 내가 생각한 적정한 시간을 주고 그 시간안에 이해 하지 못한다면 과감하게 넘어가고 다음 사이클에 한번보기 (그때 이해가 되거나 한사이클을 도는 중에 이해가 될수도 있음)

12:00

크루원 소통

  • it업계 현실, 줏대가 있어야 흔들림이 덜한다. 소통하면서 얻는 다른사람들의 관점과 사고방식을 생각할 수 있어서 좋지만 부트캠프 특성상 시간이 모자르기 때문에 조금 이기적이게 느껴져도 내가 공부 해야되는 부분에 조금더 집중할것

12:50

TIL

1:00

숙면

profile
도전!

0개의 댓글